
서울 중랑구 면목동에 위치한 대지는 2021년 5월 도심공공주택 복합사업 4차 선도사업지로 선정된 곳 중 하나다. 해당 사업지는 사가정역과 인접해 교통성과 정주성이 양호함에도 구릉지에 형성된 저층주거지인 점, 대로에서 학교로 이어지는 보차혼용 도로가 형성된 등의 특징이 있었다. 이에 단지 계획 시 인접 지역을 배려한 건축적 해법과 안전한 보행가로환경 조성, 그리고 주민과 어우러질 수 있는 공공성을 확보할 전략이 두루 요구되었다.
계획안에서는 대지가 주변 아파트 단지 사이에서도 서울 도시와 용마산으로 이어지는 자연의 선형적 연결 공간으로 작용할 잠재력을 지니는 점에 주목했다. 단지 내 다양한 성격의 가로와 공간들을 조성해 사가정 시장, 면목동 도서관, 여러 학교와 용마산 등 도시의 주변 맥락을 자연스럽게 연결한 ‘숨쉬는 단지’를 제안한다. 단지 장축은 기존 도시 축에 평행하게 대응하면서 단축 방향으로 통경축과 동선 체계, 주동 배치를 계획해 도시 활동이 적극적으로 유입되도록 유도했다. 주거동 평면 계획 시에는 커뮤니티 공간을 도입한 저층부, 보행 환경 편의를 확보한 필로티, 코어 공간을 활용한 다목적 프로그램 공간 계획, 주변 녹지로 열린 조망을 갖는 야외 공간 확보 등을 고려했다.



-
상태
진행
-
발주
한국토지주택공사(LH)
-
용도
주거, 공공
-
설계연도
2025
-
위치
서울특별시 중랑구
-
대지면적
15,516.37m2
-
연면적
77,323.21m2
-
건축면적
5,299.64m2
-
규모
지하 4층, 지상 26층
-
설계
-
참여
유진현, 구미경, 문은설, 이지우, 김지수, 복서진, 최혜린, 신서연, 장영진, 김범수, 김소명, 김효중, 김혜진
서울 중랑구 면목동에 위치한 대지는 2021년 5월 도심공공주택 복합사업 4차 선도사업지로 선정된 곳 중 하나다. 해당 사업지는 사가정역과 인접해 교통성과 정주성이 양호함에도 구릉지에 형성된 저층주거지인 점, 대로에서 학교로 이어지는 보차혼용 도로가 형성된 등의 특징이 있었다. 이에 단지 계획 시 인접 지역을 배려한 건축적 해법과 안전한 보행가로환경 조성, 그리고 주민과 어우러질 수 있는 공공성을 확보할 전략이 두루 요구되었다.
계획안에서는 대지가 주변 아파트 단지 사이에서도 서울 도시와 용마산으로 이어지는 자연의 선형적 연결 공간으로 작용할 잠재력을 지니는 점에 주목했다. 단지 내 다양한 성격의 가로와 공간들을 조성해 사가정 시장, 면목동 도서관, 여러 학교와 용마산 등 도시의 주변 맥락을 자연스럽게 연결한 ‘숨쉬는 단지’를 제안한다. 단지 장축은 기존 도시 축에 평행하게 대응하면서 단축 방향으로 통경축과 동선 체계, 주동 배치를 계획해 도시 활동이 적극적으로 유입되도록 유도했다. 주거동 평면 계획 시에는 커뮤니티 공간을 도입한 저층부, 보행 환경 편의를 확보한 필로티, 코어 공간을 활용한 다목적 프로그램 공간 계획, 주변 녹지로 열린 조망을 갖는 야외 공간 확보 등을 고려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