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림건축은 건강한 공간환경을 만들어 더불어 사는 세상과 함께 합니다.

비즈니스

18개 더보기

정림건축은 세부 설계 분야에 특화된 비즈니스 유닛(BU)을 통해 고객과 시장에 발빠르게 대응합니다.

개별 비즈니스 유닛(BU)은 각 분야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서로 협업하여 최적화된 건축적 해법을 제안합니다. 풍부한 경험과 노하우를 지닌 최고의 전문인력이 모여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끌어 갑니다.

정림포럼

7개 더보기
  • 변화에 대응하며 시대를 선도하다, 이명진 님

    2024년 출범한 첨단설계부문은 급변하는 시장 상황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응하겠다는 정림건축의 의지이자 혁신의 단면이다. 지속 가능한 건축이라는 현대사회의 요구 앞에서 이명진 대표는 정림건축의 레거시 ‘조직 설계’의 가능성을 본다. 전문성과 자생력을 갖추고 자발적 연대를 이루는 미래를.

  • 한 단계 더 나아가 미래를 바라보는 병원 설계

    병원 시설은 고정되어 있지 않다. 계속 사용하면서 조정과 변경을 거듭해야만 한다. 당장의 문제를 해결하기보다 조금 더 미래에 대응할 수 있는 제안이 필요하다.

  • 설계안을 완성할 퍼즐을 찾아서

    부산항 북항 마리나 설계팀 대담: 중간설계

  • 정림건축이 생각하는 공공성

    중대형급 이상의 건축사무소는 자본 논리로 구축되는 사업성과, 사용자와 도시를 대하는 공공 이데올로기 사이에서 그 균형을 찾기 마련이다. 건축주의 요구를 충실히 이행하는 동시에 건물이 지닌 사회적 가치와 공공적 자산으로서의 정체성을 잃지 않으려는 노력은, 정림건축이라는 ‘집단’이 창설된 초창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오랜 기간 고민해온 지점이기도 하다.

  • 공동의 아이디어를 수렴하는 방식

    부산항 북항 마리나 설계팀 대담: 현상설계

  • 생각공장 당산 DP 김동관 님 인터뷰

    생각공장 당산의 DP(Design Principal)로서 프로젝트를 이끈 김동관 님에게 생각공장 당산 프로젝트의 설계에 대해 묻고, 소회를 들어보았다.

  • 도시 속 작은 도시를 만든 사람들: 생각공장 당산

    생각공장 당산은 설계 팀원 모두가 시작부터 끝까지 온전히 같은 목표를 향해 노력할 수 있는 프로젝트로 운영되었다. 팀원 개개인은 아직 불완전한 건축가일지라도, 팀이라는 울타리 안에서 각자가 자신의 역할을 100% 이상 수행한다면 더욱 값진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정림 건축문화

정림은 사회에 대한 기업의 책임으로 건강한 건축문화의 확산과 진흥에 앞장서 왔습니다.
지속적인 건축문화 활동을 통해 건축문화 발전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정림은 건축을 문화적 형태로 전달하고,
지적 창작물 및 지식 공유를 실천하며 건강한 건축문화가 자리 잡도록 힘쓰고 있습니다.

사회에 대한 기업의 책임으로
건강한 공간환경을 만들어 더불어 사는 세상과 함께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