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월드컵 경기장

Seoul World Cup Stadium Complex

총 6만 2,000명의 관중석 수용 능력을 갖춘 서울 월드컵 경기장은 전통과 현대의 조화라는 정림건축의 지속적인 관심이 그간의 복합상업시설 경력과 맞물리면서 발전한 사례다. 1998년 설계 공모를 거쳐 2001년 완공된 본 경기장은 2002 한일월드컵을 위한 축제의 장으로 건립되어 월드컵 4강 진출이라는 국민적 염원을 이뤄낸 상징적인 장소가 됐다.

방패연과 팔각 모반 형태를 띠며 한국 전통 문화를 상징하는 경기장이 국제적인 행사를 치러내는 대표 시설물로 기능한다면, 대대적인 행사가 끝난 후에도 도시에서 활발하게 이용될 수 있는 복합시설로 자리매김하는 계획 또한 장기적인 측면에서 필요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정림건축은 2002년부터 2003년까지 복합상업시설 계획 및 경기장 대지의 마스터플랜을 진행했으며, 실내 수영장과 피트니스 센터를 비롯해 경기장 저층부의 대형 쇼핑몰과 영화관, 예식장, 레스토랑과 사우나 시설 등 경기 관람에 한정하지 않는 공공적 성격을 이곳에 구축한다. 한강에 조성된 생태공원과의 연계 또한 계획에서 주목할 만한 지점이다.

기사

아카이브

  • 상태

    준공

  • 수상
    • 2002 서울특별시건축상 금상
  • 발주

    서울특별시

  • 용도

    스포츠, 공공, 상업

  • 설계연도

    2002

  • 준공연도

    2003

  • 위치

    서울특별시 마포구

  • 대지면적

    216,712.00m2

  • 연면적

    155,774.61m2

  • 건축면적

    60,353.04m2

  • 규모

    지하 1층, 지상 6층

  • 설계

    설계1본부

  • 협력

    ㈜종합건축사사무소이공, 원양건축사사무소

  • 참여

    문진호, 권수아, 김기한, 김정란, 박광배, 박종남, 신승주, 양정선, 이정언, 이정화, 임근풍, 장경순, 장은경, 한동석, 함명환, 황창석

  • 사진

    모빗 (김성욱)

총 6만 2,000명의 관중석 수용 능력을 갖춘 서울 월드컵 경기장은 전통과 현대의 조화라는 정림건축의 지속적인 관심이 그간의 복합상업시설 경력과 맞물리면서 발전한 사례다. 1998년 설계 공모를 거쳐 2001년 완공된 본 경기장은 2002 한일월드컵을 위한 축제의 장으로 건립되어 월드컵 4강 진출이라는 국민적 염원을 이뤄낸 상징적인 장소가 됐다.

방패연과 팔각 모반 형태를 띠며 한국 전통 문화를 상징하는 경기장이 국제적인 행사를 치러내는 대표 시설물로 기능한다면, 대대적인 행사가 끝난 후에도 도시에서 활발하게 이용될 수 있는 복합시설로 자리매김하는 계획 또한 장기적인 측면에서 필요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정림건축은 2002년부터 2003년까지 복합상업시설 계획 및 경기장 대지의 마스터플랜을 진행했으며, 실내 수영장과 피트니스 센터를 비롯해 경기장 저층부의 대형 쇼핑몰과 영화관, 예식장, 레스토랑과 사우나 시설 등 경기 관람에 한정하지 않는 공공적 성격을 이곳에 구축한다. 한강에 조성된 생태공원과의 연계 또한 계획에서 주목할 만한 지점이다.

기사

아카이브

필름

연관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