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창업허브 구로는 서울시 2040 도시기본계획에 따라 ‘서남권 신성장 혁신축’을 구현코자 조성되는 기관으로, 제품 아이디어 발굴부터 제작과 양산 및 국제 진출까지 전 주기를 아우르는 ‘첨단 제조 창업 거점’으로 운영되고자 하는 목적을 지니고 추진되었다. 설계 공모는 허브가 산업 시설로서 역할하기는 물론 지역 정체성을 제고하며 산업 육성 방향성을 건축적으로 제시할 것을 요구했다. 이에 정림건축은 ‘INNO FACTORY’라는 개념으로써 혁신을 창출하는 창업 플랫폼이자 공업단지 유산을 재해석해낸 산업 리노베이션 허브를 제안했다. 이는 물리적 재생을 넘어 창업 문화와 도시 맥락을 아우르는 복합적 전환을 의미한다.
구로 지역의 산업 아카이브를 함축한 조형적 매스는 과거 공업단지의 구조적 어휘를 현대적으로 해석하며, 노출 콘크리트의 물성과 입면의 금속 구조가 지닌 질감으로 산업의 흔적과 시간의 층위를 기록하는 시공간적 전이를 감각적으로 드러낸다. 각 층의 공유 공간은 오픈 랩(Open Lab) 방식으로 구성되어 기업 간 상호 작용을 유도하는 네트워킹 공간으로도 기능하며 첨단 제조 산업으로 빠르게 변화한 산업 구조와 미래의 불확실성에 대응한다. 패시브 디자인, 자연 채광, 환기 시스템 등 친환경 요소 또한 지속 가능한 창업 생태계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구조적 혁신이다. 이상의 설계안을 통해 도시 재생과 기술 기반 창업이 융합하는 미래형 창업 클러스터로서, 지속 가능한 도시 발전의 새로운 유형(prototype)을 제시하고자 했다.










-
상태
계획
-
발주
서울특별시
-
용도
공공, 산업, 연구
-
설계연도
2025
-
위치
서울특별시 구로구
-
대지면적
3,452.00m2
-
연면적
16,551.81m2
-
건축면적
1,315.89m2
-
규모
지하 8층, 지상 3층
-
설계
디자인 SU
-
참여
강석규, 김동관, 정봉진, 유준우, 강두원, 김왕인, 김혜원
서울창업허브 구로는 서울시 2040 도시기본계획에 따라 ‘서남권 신성장 혁신축’을 구현코자 조성되는 기관으로, 제품 아이디어 발굴부터 제작과 양산 및 국제 진출까지 전 주기를 아우르는 ‘첨단 제조 창업 거점’으로 운영되고자 하는 목적을 지니고 추진되었다. 설계 공모는 허브가 산업 시설로서 역할하기는 물론 지역 정체성을 제고하며 산업 육성 방향성을 건축적으로 제시할 것을 요구했다. 이에 정림건축은 ‘INNO FACTORY’라는 개념으로써 혁신을 창출하는 창업 플랫폼이자 공업단지 유산을 재해석해낸 산업 리노베이션 허브를 제안했다. 이는 물리적 재생을 넘어 창업 문화와 도시 맥락을 아우르는 복합적 전환을 의미한다.
구로 지역의 산업 아카이브를 함축한 조형적 매스는 과거 공업단지의 구조적 어휘를 현대적으로 해석하며, 노출 콘크리트의 물성과 입면의 금속 구조가 지닌 질감으로 산업의 흔적과 시간의 층위를 기록하는 시공간적 전이를 감각적으로 드러낸다. 각 층의 공유 공간은 오픈 랩(Open Lab) 방식으로 구성되어 기업 간 상호 작용을 유도하는 네트워킹 공간으로도 기능하며 첨단 제조 산업으로 빠르게 변화한 산업 구조와 미래의 불확실성에 대응한다. 패시브 디자인, 자연 채광, 환기 시스템 등 친환경 요소 또한 지속 가능한 창업 생태계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구조적 혁신이다. 이상의 설계안을 통해 도시 재생과 기술 기반 창업이 융합하는 미래형 창업 클러스터로서, 지속 가능한 도시 발전의 새로운 유형(prototype)을 제시하고자 했다.










필름
연관 정림포럼
-
정림건축이 생각하는 공공성
중대형급 이상의 건축사무소는 자본 논리로 구축되는 사업성과, 사용자와 도시를 대하는 공공 이데올로기 사이에서 그 균형을 찾기 마련이다. 건축주의 요구를 충실히 이행하는 동시에 건물이 지닌 사회적 가치와 공공적 자산으로서의 정체성을 잃지 않으려는 노력은, 정림건축이라는 ‘집단’이 창설된 초창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오랜 기간 고민해온 지점이기도 하다.
-
생각공장 당산 DP 김동관 님 인터뷰
생각공장 당산의 DP(Design Principal)로서 프로젝트를 이끈 김동관 님에게 생각공장 당산 프로젝트의 설계에 대해 묻고, 소회를 들어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