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홍성교회

Hongsung Church, Seoul

전통적으로 교회 건축은 가장 공공적인 성격을 지님과 동시에 종교적 상징성을 취하고자 한다. 즉 지역 Community의 중핵임과 동시에 성스러운 성체로서의 Landmark로 형상화 되고자 하는 것이다.

본 프로젝트는 이러한 두 가지 양상에 충실하면서 종교적 의미를 물화시키려는 시도로 시작된다. 대지가 가지는 자연환경(홍제천)과 입지적 조건(마을 입구), 대지의 형국(Level)은 Community의 장으로서 장소(Place)를 만드는 기본적인 Factor로 이용된다. 새롭게 형성된 대지 위에 구축되는 축조물은 기능의 합리적인 조직화와 성경말씀의 상징을 동시에 구현함으로써 구체화된 형체를 가지게 된다. 이는 기능과 내적 의미를 동시에 조직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 상태

    준공

  • 발주

    서울홍성교회

  • 용도

    종교

  • 설계연도

    2003

  • 준공연도

    2007

  • 위치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 대지면적

    2836.00m2

  • 연면적

    15000.00m2

  • 규모

    지하 4층, 지상 7층

전통적으로 교회 건축은 가장 공공적인 성격을 지님과 동시에 종교적 상징성을 취하고자 한다. 즉 지역 Community의 중핵임과 동시에 성스러운 성체로서의 Landmark로 형상화 되고자 하는 것이다.

본 프로젝트는 이러한 두 가지 양상에 충실하면서 종교적 의미를 물화시키려는 시도로 시작된다. 대지가 가지는 자연환경(홍제천)과 입지적 조건(마을 입구), 대지의 형국(Level)은 Community의 장으로서 장소(Place)를 만드는 기본적인 Factor로 이용된다. 새롭게 형성된 대지 위에 구축되는 축조물은 기능의 합리적인 조직화와 성경말씀의 상징을 동시에 구현함으로써 구체화된 형체를 가지게 된다. 이는 기능과 내적 의미를 동시에 조직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필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