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계동 신속통합기획 정비계획

Rapid Integrated Planning Improvement Project around Seogye-dong

서울시 신속통합기획 사업은 재개발 및 재건축 단지에 신속한 사업 추진을 지원하는 공공지원계획이다. 민간에서 추진하는 정비계획 단계에 공공성과 사업성을 충족하는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이에 따른 사업 절차 간소화 및 계획 기준 완화를 지원한다. 사업 대상지로 선정된 용산구 서계동 33번지 일대는 서울역과 국립극단과 인접해 있고 청파동과 만리동 등 여러 행정동이 교차하는, 주거·상업·업무 시설이 공존 중인 중심 주거지이자 개발 사업이 다수 진행 중인 역동적인 지구다. 이번 신속통합기획 사업을 통해 대지의 기존 문제점을 극복하고 잠재력을 살린 새로운 지구로 재탄생시키며, 지형적 특성을 살린 창의적인 도시 경관 창출과 입지 및 주변 인프라를 연계하는 공공성 확보에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대지를 관통하는 선형녹지로와 공공보행통로 도입, 공공시설 배치를 통한 거점 공간화, 지형 고저차를 이용한 주거 단지 조닝 등의 전략을 적용했다.

먼저 선형녹지로, 공공보행통로 및 중심광장은 지역을 연결하면서 주민간의 소통이 가능한 열린 공간구조를 만들고 쾌적하고 친환경적인 녹지 인프라를 제공한다. 녹지로와 통로 변을 따라 커뮤니티 시설을 분산 배치해 공동체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선형녹지로 시작점에 배치된 각 공공시설은 인접해 있는 국립극단과 지역 문화재에 연계되며 지역 거점 공간으로 역할하기를 기대할 수 있다. 주거 단지 계획 시에는 구릉 지형의 고저차를 최소화하고자 대지 레벨에 순응하는 4가지 조닝으로 단지별 각 특성을 부여했다(도심경관형, 도심맞춤형, 학교연계형, 구릉경관형). 활기찬 일상을 담은 마을 소통길, 함께 걷고 싶은 서계 풍경을 기대한다.

기사

  • 상태

    진행

  • 발주

    서울특별시 신속통합기획과

  • 용도

    도시, 공공, 주거

  • 설계연도

    2023

  • 위치

    서울특별시 용산구

  • 대지면적

    112,599m2

  • 연면적

    343,179.36m2

  • 건축면적

    18,577.18m2

  • 규모

    지하 2층, 지상 25층 (약 2,500세대)

  • 설계
  • 참여

    장미진, 김유나, 우희경, 곽무룡, 구미경, 한주희, 이지우, 박현정, 서정표, 복서진, 송정현, 우지성

서울시 신속통합기획 사업은 재개발 및 재건축 단지에 신속한 사업 추진을 지원하는 공공지원계획이다. 민간에서 추진하는 정비계획 단계에 공공성과 사업성을 충족하는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이에 따른 사업 절차 간소화 및 계획 기준 완화를 지원한다. 사업 대상지로 선정된 용산구 서계동 33번지 일대는 서울역과 국립극단과 인접해 있고 청파동과 만리동 등 여러 행정동이 교차하는, 주거·상업·업무 시설이 공존 중인 중심 주거지이자 개발 사업이 다수 진행 중인 역동적인 지구다. 이번 신속통합기획 사업을 통해 대지의 기존 문제점을 극복하고 잠재력을 살린 새로운 지구로 재탄생시키며, 지형적 특성을 살린 창의적인 도시 경관 창출과 입지 및 주변 인프라를 연계하는 공공성 확보에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대지를 관통하는 선형녹지로와 공공보행통로 도입, 공공시설 배치를 통한 거점 공간화, 지형 고저차를 이용한 주거 단지 조닝 등의 전략을 적용했다.

먼저 선형녹지로, 공공보행통로 및 중심광장은 지역을 연결하면서 주민간의 소통이 가능한 열린 공간구조를 만들고 쾌적하고 친환경적인 녹지 인프라를 제공한다. 녹지로와 통로 변을 따라 커뮤니티 시설을 분산 배치해 공동체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선형녹지로 시작점에 배치된 각 공공시설은 인접해 있는 국립극단과 지역 문화재에 연계되며 지역 거점 공간으로 역할하기를 기대할 수 있다. 주거 단지 계획 시에는 구릉 지형의 고저차를 최소화하고자 대지 레벨에 순응하는 4가지 조닝으로 단지별 각 특성을 부여했다(도심경관형, 도심맞춤형, 학교연계형, 구릉경관형). 활기찬 일상을 담은 마을 소통길, 함께 걷고 싶은 서계 풍경을 기대한다.

기사

필름

연관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