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 시립 장당도서관

Pyeongtaek Jangdang Library

공적공간의 시설들이 주로 정부기관에서 발주되는 현재의 실 정에서, 공공건물의 디자인들은 주로 관리자 위주의 컨트롤 체계에 의해 결정되어져 왔다. 특히, 도서관이라는 프로그램은 책이라는 기재와 관리체계로 인해 단일 Mass와 일률적인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이에 반해, 평택도서관은 공원이라는 대지 위에 건축적 돗자리 위에서 책만을 위한 공간을 한정 짓고, 건물의 내·외부를 모두 책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계획 하였다. 작은 시도에 불과하지만 분절된 매스와 공간을 통하여 공원 속 열린 도서관으로써, 앞으로 시민들의 공적공간이 조금 더 공간적으로 다채롭고 자유롭게 열릴 수 있는 공공건물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되기를 조심스럽게 기대해 본다.

  • 상태

    준공

  • 수상
    • 2015 제20회 경기도 건축문화상 입선
  • 발주

    평택시립도서관

  • 용도

    공공, 문화

  • 설계연도

    2010

  • 준공연도

    2014

  • 위치

    경기도 평택시

  • 대지면적

    5944.69m2

  • 연면적

    2034.12m2

  • 건축면적

    1237.05m2

  • 규모

    지하 1층, 지하 3층

공적공간의 시설들이 주로 정부기관에서 발주되는 현재의 실 정에서, 공공건물의 디자인들은 주로 관리자 위주의 컨트롤 체계에 의해 결정되어져 왔다. 특히, 도서관이라는 프로그램은 책이라는 기재와 관리체계로 인해 단일 Mass와 일률적인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이에 반해, 평택도서관은 공원이라는 대지 위에 건축적 돗자리 위에서 책만을 위한 공간을 한정 짓고, 건물의 내·외부를 모두 책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계획 하였다. 작은 시도에 불과하지만 분절된 매스와 공간을 통하여 공원 속 열린 도서관으로써, 앞으로 시민들의 공적공간이 조금 더 공간적으로 다채롭고 자유롭게 열릴 수 있는 공공건물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되기를 조심스럽게 기대해 본다.

필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