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G넥스원 판교하우스

LIG Nex1 Pangyo House (R&D Center)

판교 테크노밸리 초청연구용지에 계획된 LIG넥스원 판교하우스(판교 연구개발센터)는 입주 기업의 상징성과 도시의 동쪽 기점에 위치하는 상징성을 함께 내포한다. 넥스원이 위치한 판교 테크노밸리 오른쪽 최북단 대지는 북측 근린공원 지세에 따라 경사지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를 이용해 연구 영역과 공용 영역을 수직적으로 분리하자 건물 형태는 자연스럽게 부유한다. “사고를 확장하고 이를 참된 기술로 이끌고 싶다”는 건축주의 염원은 건물이 자리를 잡고 기능을 풀어내고 형상을 정하는 데 명쾌하게 투영되었다.

매스는 단순한 육면체 형태이나 사면과 위아래로 각기 다른 조형언어를 갖고 있다. 이는 보행로, 고속화도로, 인접대지, 근린공원과 하늘까지 대지를 둘러싸고 있는 서로 다른 콘텍스트에 각 면이 명확하게 조응하기 위함이다. 남측 유리면은 연구 공간에 자연광을 최대한으로 유입시키는 한편 좌우면을 둘러싼 외피는 동서측에서 발생되는 소음과 일사량을 조절하면서 첨단 연구 시설 건물에 속도감 있는 상징성을 부여한다.

전면의 조경 공간은 광장을 출입구로 끌어들이고, 건물 내 가장 공적인 영역이자 맑고 투명한 로비 공간이 방문객을 빠르게 유입시키며 다양한 기능이 섞이는 광장의 개념을 연장해 온다. 전면 진입 광장에 놓인 피트니스동과 홍보관은 오브제처럼 놓여 있으며, 서측 선큰 광장이 피트니스 건물동 및 지하 지원시설에 자연 환기와 빛을 제공한다. 연구시설에는 매우 효율적인 평면과 단면이 요구됨에 따라 수직적으로 조닝된 공간 기능들은 연구소의 보안 설정에 부합하면서도, 주변의 미묘한 변화들이 기능 설정과 감성적 표현에 큰 영향을 주었다. 근두운 마당으로 명명된 2층 중정은 1층 방문자 영역과 상부 연구 영역을 분리하면서 시각적인 개방감과 심리적 연결을 제공해 연구원들의 커뮤니케이션 공간이 된다.

  • 상태

    준공

  • 발주

    ㈜LIG넥스원

  • 용도

    오피스, 연구

  • 설계연도

    2007

  • 준공연도

    2011

  • 위치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 대지면적

    11,038.00m2

  • 연면적

    27,174.54m2

  • 건축면적

    6,466.88m2

  • 규모

    지하 4층, 지상 6층

  • 설계
  • 참여

    곽은정, 김선주, 김재식, 나수영, 노휘, 박현우, 손병찬, 유병민, 윤설윤, 정수영, 정인환

판교 테크노밸리 초청연구용지에 계획된 LIG넥스원 판교하우스(판교 연구개발센터)는 입주 기업의 상징성과 도시의 동쪽 기점에 위치하는 상징성을 함께 내포한다. 넥스원이 위치한 판교 테크노밸리 오른쪽 최북단 대지는 북측 근린공원 지세에 따라 경사지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를 이용해 연구 영역과 공용 영역을 수직적으로 분리하자 건물 형태는 자연스럽게 부유한다. “사고를 확장하고 이를 참된 기술로 이끌고 싶다”는 건축주의 염원은 건물이 자리를 잡고 기능을 풀어내고 형상을 정하는 데 명쾌하게 투영되었다.

매스는 단순한 육면체 형태이나 사면과 위아래로 각기 다른 조형언어를 갖고 있다. 이는 보행로, 고속화도로, 인접대지, 근린공원과 하늘까지 대지를 둘러싸고 있는 서로 다른 콘텍스트에 각 면이 명확하게 조응하기 위함이다. 남측 유리면은 연구 공간에 자연광을 최대한으로 유입시키는 한편 좌우면을 둘러싼 외피는 동서측에서 발생되는 소음과 일사량을 조절하면서 첨단 연구 시설 건물에 속도감 있는 상징성을 부여한다.

전면의 조경 공간은 광장을 출입구로 끌어들이고, 건물 내 가장 공적인 영역이자 맑고 투명한 로비 공간이 방문객을 빠르게 유입시키며 다양한 기능이 섞이는 광장의 개념을 연장해 온다. 전면 진입 광장에 놓인 피트니스동과 홍보관은 오브제처럼 놓여 있으며, 서측 선큰 광장이 피트니스 건물동 및 지하 지원시설에 자연 환기와 빛을 제공한다. 연구시설에는 매우 효율적인 평면과 단면이 요구됨에 따라 수직적으로 조닝된 공간 기능들은 연구소의 보안 설정에 부합하면서도, 주변의 미묘한 변화들이 기능 설정과 감성적 표현에 큰 영향을 주었다. 근두운 마당으로 명명된 2층 중정은 1층 방문자 영역과 상부 연구 영역을 분리하면서 시각적인 개방감과 심리적 연결을 제공해 연구원들의 커뮤니케이션 공간이 된다.

필름

연관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