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ThinQ Home

LG ThinQ Home

LG ThinQ Home 프로젝트는 변화하는 일상에 대응하는 첨단 미래 기술을 담아 친환경 스마트 하우스의 표준을 만드는 LG그룹과 정림건축의 실험적 콜라보레이션이다. 건축물의 실천적 탄소중립과 제로에너지 달성, 팬데믹이 촉발시킨 비대면 시대의 기술 발전, 그럼에도 변함없이 인간과 환경을 배려하는 주거 공간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했다.

단독주택 용도와 디자인 특성에 따라 넓은 외피면적과 창면적에서 소요되는 에너지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전략들이 수립됐다. 먼저 북측 창면적을 최소화하는 한편 공간의 용적을 최소화했으며 단열과 열교 방지, 팽창밴드를 적용한 로이삼중창호 등으로 제로에너지하우스(ZEH)에 걸맞는 패시브 성능을 달성했다. 또한 입면과 지붕에 설치한 약 880매의 BIPV 모듈은 LG전자와 정림건축이 자체 개발한 것으로, 외장재로도 손색없는 미려함과 설치 디테일을 갖추고 있다. LG전자는 이곳에 자사가 보유한 홈 어플라이언스 기술과 IoT 기술을 접목시킨 미래 주거를 기획하고 있다. LG ThinQ Home은 향후 일정 기간 LG의 레퍼런스 주택으로 활용될 예정이며, 에너지 자립률 100퍼센트의 제로에너지 주택으로 작동할 것이다.

기사

ARCHI-BIRTH REPORT
LG ThinQ Home
  • 상태

    준공

  • 수상
    • 2021 대한민국 녹색건축대전 준공부문 산업통상자원부장관상
  • 발주

    LG전자㈜

  • 용도

    주거

  • 설계연도

    2019

  • 준공연도

    2021

  • 위치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 대지면적

    295.30m2

  • 연면적

    495.54m2

  • 건축면적

    126.13m2

  • 규모

    지하 1층, 지상 3층

  • 설계

    설계2본부

  • 참여

    원정미, 기현철, 김연관, 김현기, 김효중, 박승, 박한희, 심기화, 임영규, 이효성

  • 사진

    윤준환

LG ThinQ Home 프로젝트는 변화하는 일상에 대응하는 첨단 미래 기술을 담아 친환경 스마트 하우스의 표준을 만드는 LG그룹과 정림건축의 실험적 콜라보레이션이다. 건축물의 실천적 탄소중립과 제로에너지 달성, 팬데믹이 촉발시킨 비대면 시대의 기술 발전, 그럼에도 변함없이 인간과 환경을 배려하는 주거 공간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했다.

단독주택 용도와 디자인 특성에 따라 넓은 외피면적과 창면적에서 소요되는 에너지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전략들이 수립됐다. 먼저 북측 창면적을 최소화하는 한편 공간의 용적을 최소화했으며 단열과 열교 방지, 팽창밴드를 적용한 로이삼중창호 등으로 제로에너지하우스(ZEH)에 걸맞는 패시브 성능을 달성했다. 또한 입면과 지붕에 설치한 약 880매의 BIPV 모듈은 LG전자와 정림건축이 자체 개발한 것으로, 외장재로도 손색없는 미려함과 설치 디테일을 갖추고 있다. LG전자는 이곳에 자사가 보유한 홈 어플라이언스 기술과 IoT 기술을 접목시킨 미래 주거를 기획하고 있다. LG ThinQ Home은 향후 일정 기간 LG의 레퍼런스 주택으로 활용될 예정이며, 에너지 자립률 100퍼센트의 제로에너지 주택으로 작동할 것이다.

기사

ARCHI-BIRTH REPORT
LG ThinQ Home

필름

연관 프로젝트

연관 정림포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