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 메디사이언스파크 정몽구미래의학관

Korea University Mediscience Park Chung Mong-Koo Future Medicine Building

고려대학교 정릉 캠퍼스의 보건대학 건물을 증축 및 리모델링하여, 고려대 의료원의 새로운 핵심 연구단지를 조성한 프로젝트이다. 계획의 기본 방향은 정보관, 정의관, 호림관 3가지 건물의 특성에 맞게 이루어졌다. 정보관에는 의료원 본부 및 행정 시설을 위한 사무공간, 정의관에는 GMP 시설 및 외부 연구형 기업 사무공간, 호림관에는 동물실험실 및 연구소를 배치했다. 건물마다 준공 시기 및 용도가 상이하여, 각자에게 적합한 방식으로 계획되었다. 정의관은 내부 리모델링만 진행하여 용도에 맞는 평면을 계획했고, 호림관은 부족한 공간 및 수직 동선을 추가 배치하여 수평과 수직 증축 및 노후화된 외관 리모델링을 진행했다. 정보관, 정의관은 개방형 스마트 오피스로 유연하고 탄력적인 오피스 레이아웃을 배치하고, 업무 공간과 휴게 및 회의 공간을 분리 배치하여 업무 집중력을 높일 수 있도록 계획했다. 호림관은 내부 동선을 간소화하고, 각종 설비 수직 샤프트를 통합하여 공간을 효율화했다. 최적화된 실험실 및 연구실 공간 배치를 계획하고, 입면 주재료로 테라코타를 적용하여 의과대학의 상징성 및 연속성을 정릉 캠퍼스에도 적용했다. 기존 캠퍼스의 주변 건물과 조화를 이루는 입면을 계획했다.

  • 상태

    준공

  • 발주

    고려대학교 의료원

  • 용도

    연구, 교육

  • 설계연도

    2020

  • 준공연도

    2024

  • 위치

    서울특별시 성북구

  • 대지면적

    35,948.00m2

  • 연면적

    31,170.82m2

  • 건축면적

    5,185.49m2

  • 규모

    지하 1층, 지상 6층

  • 설계

    헬스케어 BU, 설계2그룹

  • 참여

    황도원, 정재선, 김예나, 신승우, 원성필, 유지혜

  • 사진

    김창묵

고려대학교 정릉 캠퍼스의 보건대학 건물을 증축 및 리모델링하여, 고려대 의료원의 새로운 핵심 연구단지를 조성한 프로젝트이다. 계획의 기본 방향은 정보관, 정의관, 호림관 3가지 건물의 특성에 맞게 이루어졌다. 정보관에는 의료원 본부 및 행정 시설을 위한 사무공간, 정의관에는 GMP 시설 및 외부 연구형 기업 사무공간, 호림관에는 동물실험실 및 연구소를 배치했다. 건물마다 준공 시기 및 용도가 상이하여, 각자에게 적합한 방식으로 계획되었다. 정의관은 내부 리모델링만 진행하여 용도에 맞는 평면을 계획했고, 호림관은 부족한 공간 및 수직 동선을 추가 배치하여 수평과 수직 증축 및 노후화된 외관 리모델링을 진행했다. 정보관, 정의관은 개방형 스마트 오피스로 유연하고 탄력적인 오피스 레이아웃을 배치하고, 업무 공간과 휴게 및 회의 공간을 분리 배치하여 업무 집중력을 높일 수 있도록 계획했다. 호림관은 내부 동선을 간소화하고, 각종 설비 수직 샤프트를 통합하여 공간을 효율화했다. 최적화된 실험실 및 연구실 공간 배치를 계획하고, 입면 주재료로 테라코타를 적용하여 의과대학의 상징성 및 연속성을 정릉 캠퍼스에도 적용했다. 기존 캠퍼스의 주변 건물과 조화를 이루는 입면을 계획했다.

필름

연관 프로젝트

연관 정림포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