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려대학교 정릉 캠퍼스의 보건대학 건물을 증축 및 리모델링하여, 고려대 의료원의 새로운 핵심 연구단지를 조성한 프로젝트이다. 계획의 기본 방향은 정보관, 정의관, 호림관 3가지 건물의 특성에 맞게 이루어졌다. 정보관에는 의료원 본부 및 행정 시설을 위한 사무공간, 정의관에는 GMP 시설 및 외부 연구형 기업 사무공간, 호림관에는 동물실험실 및 연구소를 배치했다. 건물마다 준공 시기 및 용도가 상이하여, 각자에게 적합한 방식으로 계획되었다. 정의관은 내부 리모델링만 진행하여 용도에 맞는 평면을 계획했고, 호림관은 부족한 공간 및 수직 동선을 추가 배치하여 수평과 수직 증축 및 노후화된 외관 리모델링을 진행했다. 정보관, 정의관은 개방형 스마트 오피스로 유연하고 탄력적인 오피스 레이아웃을 배치하고, 업무 공간과 휴게 및 회의 공간을 분리 배치하여 업무 집중력을 높일 수 있도록 계획했다. 호림관은 내부 동선을 간소화하고, 각종 설비 수직 샤프트를 통합하여 공간을 효율화했다. 최적화된 실험실 및 연구실 공간 배치를 계획하고, 입면 주재료로 테라코타를 적용하여 의과대학의 상징성 및 연속성을 정릉 캠퍼스에도 적용했다. 기존 캠퍼스의 주변 건물과 조화를 이루는 입면을 계획했다.




-
상태
준공
-
발주
고려대학교 의료원
-
용도
연구, 교육
-
설계연도
2020
-
준공연도
2024
-
위치
서울특별시 성북구
-
대지면적
35,948.00m2
-
연면적
31,170.82m2
-
건축면적
5,185.49m2
-
규모
지하 1층, 지상 6층
-
설계
헬스케어 BU, 설계2그룹
-
참여
황도원, 정재선, 김예나, 신승우, 원성필, 유지혜
-
사진
김창묵
고려대학교 정릉 캠퍼스의 보건대학 건물을 증축 및 리모델링하여, 고려대 의료원의 새로운 핵심 연구단지를 조성한 프로젝트이다. 계획의 기본 방향은 정보관, 정의관, 호림관 3가지 건물의 특성에 맞게 이루어졌다. 정보관에는 의료원 본부 및 행정 시설을 위한 사무공간, 정의관에는 GMP 시설 및 외부 연구형 기업 사무공간, 호림관에는 동물실험실 및 연구소를 배치했다. 건물마다 준공 시기 및 용도가 상이하여, 각자에게 적합한 방식으로 계획되었다. 정의관은 내부 리모델링만 진행하여 용도에 맞는 평면을 계획했고, 호림관은 부족한 공간 및 수직 동선을 추가 배치하여 수평과 수직 증축 및 노후화된 외관 리모델링을 진행했다. 정보관, 정의관은 개방형 스마트 오피스로 유연하고 탄력적인 오피스 레이아웃을 배치하고, 업무 공간과 휴게 및 회의 공간을 분리 배치하여 업무 집중력을 높일 수 있도록 계획했다. 호림관은 내부 동선을 간소화하고, 각종 설비 수직 샤프트를 통합하여 공간을 효율화했다. 최적화된 실험실 및 연구실 공간 배치를 계획하고, 입면 주재료로 테라코타를 적용하여 의과대학의 상징성 및 연속성을 정릉 캠퍼스에도 적용했다. 기존 캠퍼스의 주변 건물과 조화를 이루는 입면을 계획했다.




필름
연관 정림포럼
-
한 단계 더 나아가 미래를 바라보는 병원 설계
병원 시설은 고정되어 있지 않다. 계속 사용하면서 조정과 변경을 거듭해야만 한다. 당장의 문제를 해결하기보다 조금 더 미래에 대응할 수 있는 제안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