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 안암병원 메디컴플렉스 신관

Korea University Anam Hospital Medicomplex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메디컴플렉스 신관은 협소하고 노후한 기존 병원과 연계하여 ‘치유 중심’의 새로운 병원을 신축한 프로젝트다. 설계 과정에서 고려한 주요 이슈는 기존 병원과의 기능적이고 공간적인 연계성 고려, 협소한 대지 현황 및 주변 지형과 내부 공간과의 연결, 기존 병원 이미지를 탈피하는 새로운 상징성 확보였다.

주변의 도시 컨텍스트와 기존 캠퍼스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입체적으로 통합해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에 새로운 상징성을 부여하고자 했다. 병원은 흡사 마을과 같은 가로 환경을 간결하게 구현했는데, 각 공간을 유연하게 연결하는 내부 공간, 주변 환경과 병원을 연결하는 공용 광장을 구성했다. 환자들을 위한 치유 공간으로 역할하는 오픈 스페이스는 방문객과 주요 고객 및 병원 관계자들이 쉽게 접근 및 이용 가능한 동선 체계를 확립하는 공간으로써도 적극 계획했다. 기존 건물에서 부족했던 여유 공간을 확보하고 기능적으로 개선하면서, 캠퍼스 전체 맥락을 존중하고 주변으로 열린 조망을 확보했다. 프로그램 배치 시에는 심리적 안정감을 찾을 수 있는 실내 공간을 만드는 데 주력했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은 메디컴플렉스 신관을 통해 스마트병원을 실현, IoT 시스템 도입을 통해 개인에 대한 의료 정보 등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밀의료 병원정보시스템을 결합한 스마트 병동 솔루션을 구현했다.

Architect & Architecture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메디컴플렉스 신관
  • 상태

    준공

  • 수상
    • 2024 한국리모델링건축대전 특선
  • 발주

    고려대학교 의료원

  • 용도

    헬스케어

  • 설계연도

    2014 - 2017, 2018 - 2022

  • 준공연도

    2023

  • 위치

    서울특별시 성북구

  • 대지면적

    640,850,00m2

  • 연면적

    136,016.87m2

  • 건축면적

    20,614.40m2

  • 규모

    지하 6층, 지상 11층

  • 설계

    설계2그룹 / 헬스케어 BU

  • 참여

    우소영, 정재선, 최경호, 박인철, 모상진, 김동관, 상민규, 황도원, 원성필, 류지완, 박진민, 강석규, 김주은, 이선민, 양동욱, 박재범, 전세덕(기술위원)

  • 사진

    윤준환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메디컴플렉스 신관은 협소하고 노후한 기존 병원과 연계하여 ‘치유 중심’의 새로운 병원을 신축한 프로젝트다. 설계 과정에서 고려한 주요 이슈는 기존 병원과의 기능적이고 공간적인 연계성 고려, 협소한 대지 현황 및 주변 지형과 내부 공간과의 연결, 기존 병원 이미지를 탈피하는 새로운 상징성 확보였다.

주변의 도시 컨텍스트와 기존 캠퍼스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입체적으로 통합해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에 새로운 상징성을 부여하고자 했다. 병원은 흡사 마을과 같은 가로 환경을 간결하게 구현했는데, 각 공간을 유연하게 연결하는 내부 공간, 주변 환경과 병원을 연결하는 공용 광장을 구성했다. 환자들을 위한 치유 공간으로 역할하는 오픈 스페이스는 방문객과 주요 고객 및 병원 관계자들이 쉽게 접근 및 이용 가능한 동선 체계를 확립하는 공간으로써도 적극 계획했다. 기존 건물에서 부족했던 여유 공간을 확보하고 기능적으로 개선하면서, 캠퍼스 전체 맥락을 존중하고 주변으로 열린 조망을 확보했다. 프로그램 배치 시에는 심리적 안정감을 찾을 수 있는 실내 공간을 만드는 데 주력했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은 메디컴플렉스 신관을 통해 스마트병원을 실현, IoT 시스템 도입을 통해 개인에 대한 의료 정보 등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밀의료 병원정보시스템을 결합한 스마트 병동 솔루션을 구현했다.

Architect & Architecture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메디컴플렉스 신관

필름

연관 프로젝트

연관 정림포럼

연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