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대중국제컨벤션센터는 전시컨벤션센터를 현대적 ‘장터’의 개념으로 해석하여 다양한 문화생활을 수용할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이다. 개방성과 접근성이 뛰어난 공간을 만듦으로써 주민에게 개방된 휴식처로 기능하고자 계획했다.
광주의 상징인 무등산의 특징적 요소를 디자인에 적용해 지역적 특색을 표현함과 동시에 능선이 중첩되며 산맥을 형성하는 형태를 만들었다. 내부에는 작은 공간에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고, 공간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유기적 형태를 구현했다. 천창을 통해 자연채광을 유입하고, 전면부의 필로티 구조는 전면 광장과 건물 내부로의 자연스러운 연계를 유도한다.
-
상태
준공
-
수상
- 2005 제10회 광주광역시건축상 은상
-
발주
광주광역시, 김대중컨벤션센터 건립공사
-
용도
공공, 문화
-
설계연도
2002
-
준공연도
2005
-
위치
광주광역시 서구
-
대지면적
53,301.90m2
-
연면적
40,046.05m2
-
건축면적
23,867.30m2
-
규모
지하 1층, 지상 4층
-
설계
설계1본부
-
협력
지에이건축사사무소, 대호건축
-
참여
이병호, 백문기, 전용석, 김영근, 권현주, 류희선, 김지영, 김용만, 이정완, 조정연, 천병권








김대중국제컨벤션센터는 전시컨벤션센터를 현대적 ‘장터’의 개념으로 해석하여 다양한 문화생활을 수용할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이다. 개방성과 접근성이 뛰어난 공간을 만듦으로써 주민에게 개방된 휴식처로 기능하고자 계획했다.
광주의 상징인 무등산의 특징적 요소를 디자인에 적용해 지역적 특색을 표현함과 동시에 능선이 중첩되며 산맥을 형성하는 형태를 만들었다. 내부에는 작은 공간에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고, 공간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유기적 형태를 구현했다. 천창을 통해 자연채광을 유입하고, 전면부의 필로티 구조는 전면 광장과 건물 내부로의 자연스러운 연계를 유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