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공회의소는 1884년 설립된 한성상업회의소를 시작으로 100여 년이 넘는 역사를 지닌 민간경제단체로서, 상공업의 종합적인 개선 발전과 국민 경제 및 지역 사회의 균형 성장 도모를 목적으로 한다. 전세계 150여 개국, 전국 65개 주요 도시에 설립된 상공회의소는 21세기를 맞이하는 첨단 비즈니스 등으로 업계를 선도할 장소를 필요로 했다.
대상지 주변은 숭례문과 더불어 당시 재개발 지구가 여럿 계획되어 있었다. 이에 국보 1호 문화재와 조화를 이루면서 주변에 새로 들어설 건물들과 공존하는 동시에 우리나라 경제계를 대표하는 상공회의소로서 독자성을 가질 수 있도록 계획했다. 숭례문이 지닌 축과 주 동선 축을 따라 공간을 구성하고, 저층부에는 인원과 규모에 따른 회의 및 컨퍼런스를 개최할 수 있는 대회의실과 소회의실 등을, 고층부에는 사무 공간을 배치했다. 도시와 맞닿는 면에는 입체적인 조경 계획으로 시민에게 열린 공간을 제공한다. 우리나라 고유의 내구성 높은 화강석 외장 마감은 백의의 진취성을 표현하며 청색 반사유리와 대비해 청백의 우아함을 창출한다.
아카이브
-
상태
준공
-
수상
- 1985 한국건축전 준공부문 우수상
- 1984 서울특별시건축상 동상
-
발주
대한상공회의소
-
용도
오피스
-
설계연도
1981
-
준공연도
1984
-
위치
서울특별시 중구
-
대지면적
11,533.77m2
-
연면적
46,139.32m2
-
건축면적
3,344.64m2
-
규모
지하 3층, 지상 12층, 옥탑 2층
-
참여
고희광, 김상길, 김성은, 김승환, 김인규, 김정철, 박기호, 박승준, 박정규, 박종남, 안종성, 양재일, 전세덕, 전영추, 조철우, 정윤성, 정의석 외





상공회의소는 1884년 설립된 한성상업회의소를 시작으로 100여 년이 넘는 역사를 지닌 민간경제단체로서, 상공업의 종합적인 개선 발전과 국민 경제 및 지역 사회의 균형 성장 도모를 목적으로 한다. 전세계 150여 개국, 전국 65개 주요 도시에 설립된 상공회의소는 21세기를 맞이하는 첨단 비즈니스 등으로 업계를 선도할 장소를 필요로 했다.
대상지 주변은 숭례문과 더불어 당시 재개발 지구가 여럿 계획되어 있었다. 이에 국보 1호 문화재와 조화를 이루면서 주변에 새로 들어설 건물들과 공존하는 동시에 우리나라 경제계를 대표하는 상공회의소로서 독자성을 가질 수 있도록 계획했다. 숭례문이 지닌 축과 주 동선 축을 따라 공간을 구성하고, 저층부에는 인원과 규모에 따른 회의 및 컨퍼런스를 개최할 수 있는 대회의실과 소회의실 등을, 고층부에는 사무 공간을 배치했다. 도시와 맞닿는 면에는 입체적인 조경 계획으로 시민에게 열린 공간을 제공한다. 우리나라 고유의 내구성 높은 화강석 외장 마감은 백의의 진취성을 표현하며 청색 반사유리와 대비해 청백의 우아함을 창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