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종합경기타운은 북측에 서봉산과 서한산, 대지를 동서로 흐르는 난머리천 등의 자연 환경을 두고 남측 향남지구를 비롯한 대규모 주거 및 상업 지구의 도시환경이 만나는 화성의 중심 지역에 위치한다. 프로젝트는 첨단 스포츠시설과 수익시설로써 동북아 핵심 거점도시의 역동성과 스포츠, 레저, 자연이 함께하는 생태환경도시로서 ‘건강한 화성, 활기찬 화성’을 구현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실내체육관, 주경기장, 수익시설을 융합한 화성시의 새로운 상징, 하나된 상징을 보일 역동적인 이미지를 표현했다.
전국체전을 비롯해 각종 국제경기를 무리 없이 개최할 수 있는 경기타운의 기본 기능에 충실하기 위해 주 경기장의 관람석 배치는 선호도가 높은 동서측 스탠드에 60% 이상을 집중 배치했으며, 대지 전체가 하나의 큰 자연공원을 이루는 공원 속의 경기장으로 계획했다. 주경기장과 실내체육관은 지붕으로 연결되면서 두 건물이 단일 매스가 되는데, 둘은 각기 다른 높이와 방향성을 가지기 때문에 연결 지붕은 비정형의 형상이 된다. 평면과 단면의 합리적 규칙을 유지하면서 자연스러운 지붕 형태를 만들기 위해 3D 커브 디자인으로 여러 연결 방식을 검토했다.











-
상태
준공
-
수상
- 2013 제18회 경기도건축문화상 금상
- 2011 제7회 대한민국 토목·건축기술대상 우수상
-
발주
화성시청
-
용도
스포츠, 공공
-
설계연도
2008
-
준공연도
2011
-
위치
경기도 화성시
-
대지면적
278,719.30m2
-
연면적
83,215.38m2
-
건축면적
56,182.50m2
-
규모
PIT층, 지상 5층
-
컨소시엄
-
참여
이상포, 김세형, 김영석, 김정중, 류웅렬, 문성현, 박길수, 배정환, 방준호, 안민, 임지경, 정성철, 현은혜
화성종합경기타운은 북측에 서봉산과 서한산, 대지를 동서로 흐르는 난머리천 등의 자연 환경을 두고 남측 향남지구를 비롯한 대규모 주거 및 상업 지구의 도시환경이 만나는 화성의 중심 지역에 위치한다. 프로젝트는 첨단 스포츠시설과 수익시설로써 동북아 핵심 거점도시의 역동성과 스포츠, 레저, 자연이 함께하는 생태환경도시로서 ‘건강한 화성, 활기찬 화성’을 구현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실내체육관, 주경기장, 수익시설을 융합한 화성시의 새로운 상징, 하나된 상징을 보일 역동적인 이미지를 표현했다.
전국체전을 비롯해 각종 국제경기를 무리 없이 개최할 수 있는 경기타운의 기본 기능에 충실하기 위해 주 경기장의 관람석 배치는 선호도가 높은 동서측 스탠드에 60% 이상을 집중 배치했으며, 대지 전체가 하나의 큰 자연공원을 이루는 공원 속의 경기장으로 계획했다. 주경기장과 실내체육관은 지붕으로 연결되면서 두 건물이 단일 매스가 되는데, 둘은 각기 다른 높이와 방향성을 가지기 때문에 연결 지붕은 비정형의 형상이 된다. 평면과 단면의 합리적 규칙을 유지하면서 자연스러운 지붕 형태를 만들기 위해 3D 커브 디자인으로 여러 연결 방식을 검토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