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익대학교 대학로캠퍼스는 최첨단 교육을 수용하고, 새로운 사회적 변화와 다양한 요구에 대응하는 도심형 캠퍼스로 조성되었다. 대학로 초입에 위치한 대지는 남북의 대학로와 동서의 율곡로의 결절점으로서, 대학로의 문화와 마로니에 공원의 녹지 흐름이 연결되는 공간이자 율곡로의 보행 흐름에 연속성을 부여한다. 대학로의 시작을 강조하는 열린 대지로 조성하여 대학로의 문화 공간, 마로니에 공원의 녹지 공간, 홍익대학교의 교육 공간이 어우러지도록 계획했다.
홍익대학교의 창조적이며 진취적인 디자인 정신을 역동적인 건물의 매스 안에서 수직적 레이어로 형상화하였으며, 외관은 자유로운 창의성을 모티브로 했다. 역동적인 외관과 절제된 디자인은 프로그램의 성격에 부합하는 입면 형태로, 적층 구조와 외관은 대학로의 통합된 문화의 스펙트럼으로 대학로의 새로운 랜드마크로 자리한다. 내부는 교육연구시설과 문화시설의 프로그램 분리를 통해 저층부는 전시장, 공연장 등 사회 문화 활동의 장으로, 고층부는 교육시설과 지원시설이 위치한다. 대학로의 활기찬 문화를 건축물 내부로 끌어들이며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첨단 디자인 센터이자, 공공의 도심 쉼터를 제공하는 디자인 캠퍼스로 자리매김한다.
-
상태
준공
-
발주
홍익대학교
-
용도
교육, 문화
-
설계연도
2007
-
준공연도
2012
-
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
대지면적
6,457.60m2
-
연면적
57,098.12m2
-
건축면적
3,701.97m2
-
규모
지하 6층, 지상 12층
-
설계
설계3본부
-
협력
운생동건축사사무소
-
참여
손병찬, 정연두, 박문학, 이병호, 백승용, 박문학, 신주용, 김해진, 유병민, 전윤철
-
사진
남궁선







홍익대학교 대학로캠퍼스는 최첨단 교육을 수용하고, 새로운 사회적 변화와 다양한 요구에 대응하는 도심형 캠퍼스로 조성되었다. 대학로 초입에 위치한 대지는 남북의 대학로와 동서의 율곡로의 결절점으로서, 대학로의 문화와 마로니에 공원의 녹지 흐름이 연결되는 공간이자 율곡로의 보행 흐름에 연속성을 부여한다. 대학로의 시작을 강조하는 열린 대지로 조성하여 대학로의 문화 공간, 마로니에 공원의 녹지 공간, 홍익대학교의 교육 공간이 어우러지도록 계획했다.
홍익대학교의 창조적이며 진취적인 디자인 정신을 역동적인 건물의 매스 안에서 수직적 레이어로 형상화하였으며, 외관은 자유로운 창의성을 모티브로 했다. 역동적인 외관과 절제된 디자인은 프로그램의 성격에 부합하는 입면 형태로, 적층 구조와 외관은 대학로의 통합된 문화의 스펙트럼으로 대학로의 새로운 랜드마크로 자리한다. 내부는 교육연구시설과 문화시설의 프로그램 분리를 통해 저층부는 전시장, 공연장 등 사회 문화 활동의 장으로, 고층부는 교육시설과 지원시설이 위치한다. 대학로의 활기찬 문화를 건축물 내부로 끌어들이며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첨단 디자인 센터이자, 공공의 도심 쉼터를 제공하는 디자인 캠퍼스로 자리매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