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과학기술대학교 창대체육관

Gymnasium Daejeon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캠퍼스의 중심인 중앙도서관을 진입축으로, 우측에 학생회관(양지관)을 평행축으로는 대학본관(혜천관)을 두고 있다. 따라서 기존캠퍼스의 위계와 주동선이 자연스럽게 연결되게 된다. 농구, 배구, 핸드볼이 가능한 다목적 체육시설에 수납식 좌석과 이동식 좌석을 활용하면 1,200석이 가능한 아레나타입의 집회공간으로 변형된다.

지하층에 계획된 골프연습장과 무도관은 학과수업 및 교직원의 체육활동을 돕도록 했으며 170평의 휘트니스 센터는 학생과 교직원 및 지역주민이 함께하는 체력 단련장으로 개방될 것이다. 체육관의 외부조형은 기존 캠퍼스와 조화로운 형태와 재료를 사용하였으며 아카데믹한 캠퍼스와 하이테크한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하여 수평처마지붕과 열주기둥 그리고 금속재와 세라믹재료를 사용하였다. 신축체육관이 완공 후 캠퍼스의 새로운 장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 상태

    준공

  • 발주

    대전과학기술대학교

  • 용도

    교육, 스포츠

  • 설계연도

    2013

  • 준공연도

    2016

  • 위치

    대전광역시 서구

  • 대지면적

    181027.40m2

  • 연면적

    5407.50m2

  • 건축면적

    2046.63m2

  • 규모

    지하 1층, 지상 3층

캠퍼스의 중심인 중앙도서관을 진입축으로, 우측에 학생회관(양지관)을 평행축으로는 대학본관(혜천관)을 두고 있다. 따라서 기존캠퍼스의 위계와 주동선이 자연스럽게 연결되게 된다. 농구, 배구, 핸드볼이 가능한 다목적 체육시설에 수납식 좌석과 이동식 좌석을 활용하면 1,200석이 가능한 아레나타입의 집회공간으로 변형된다.

지하층에 계획된 골프연습장과 무도관은 학과수업 및 교직원의 체육활동을 돕도록 했으며 170평의 휘트니스 센터는 학생과 교직원 및 지역주민이 함께하는 체력 단련장으로 개방될 것이다. 체육관의 외부조형은 기존 캠퍼스와 조화로운 형태와 재료를 사용하였으며 아카데믹한 캠퍼스와 하이테크한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하여 수평처마지붕과 열주기둥 그리고 금속재와 세라믹재료를 사용하였다. 신축체육관이 완공 후 캠퍼스의 새로운 장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필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