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광진경찰서

Gwangjin Police Station

저층의 노후된 건물이 밀집된 주변 대지 상황과 요구된 스페이스 프로그램에 비해 비좁은 대지를 어떻게 활용해야 할까?라는 질문을 시작으로 프로젝트는 시작되었다.

대지를 둘러싼 저층형 주거단지에 경찰서와 지구대, 전의경 시설이 복합된 스페이스 프로그램은 민원인에게 개방된 영역과 보안을 요구하는 영역 등으로 복잡하게 얽혀있고, 좁은 가용부지와 제한된 예산안이란 제약조건을 넘어 지역을 대표하는 공공업무시설로서 기능해야 했다.
다양한 배치 계획을 통해 도출해낸 최종안은 기존 경찰서들이 옥외 주차 장을 전면에 배치하던 방식을 탈피함으로서 전의경시설과 주거단지의 간섭을 최소화 시켰고, 민원인의 접근성을 높였다. 또한, 저층부와 고층부를 분절한 상징적인 매스계획은 전면도로에서 강한 인상을 주고 있다.

보안시설이라는 특수성과 상반된 공공건물이 가져야할 공공 성 확보는 전반적인 스페이스 프로그램 조닝의 기준이 되어 마지막까지 고민하게 된 화두이다.

  • 상태

    준공

  • 발주

    광진경찰서

  • 용도

    공공, 오피스

  • 설계연도

    2012

  • 준공연도

    2017

  • 위치

    서울특별시 광진구

  • 대지면적

    4706.00m2

  • 연면적

    18739.60m2

  • 건축면적

    2446.34m2

저층의 노후된 건물이 밀집된 주변 대지 상황과 요구된 스페이스 프로그램에 비해 비좁은 대지를 어떻게 활용해야 할까?라는 질문을 시작으로 프로젝트는 시작되었다.

대지를 둘러싼 저층형 주거단지에 경찰서와 지구대, 전의경 시설이 복합된 스페이스 프로그램은 민원인에게 개방된 영역과 보안을 요구하는 영역 등으로 복잡하게 얽혀있고, 좁은 가용부지와 제한된 예산안이란 제약조건을 넘어 지역을 대표하는 공공업무시설로서 기능해야 했다.
다양한 배치 계획을 통해 도출해낸 최종안은 기존 경찰서들이 옥외 주차 장을 전면에 배치하던 방식을 탈피함으로서 전의경시설과 주거단지의 간섭을 최소화 시켰고, 민원인의 접근성을 높였다. 또한, 저층부와 고층부를 분절한 상징적인 매스계획은 전면도로에서 강한 인상을 주고 있다.

보안시설이라는 특수성과 상반된 공공건물이 가져야할 공공 성 확보는 전반적인 스페이스 프로그램 조닝의 기준이 되어 마지막까지 고민하게 된 화두이다.

필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