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지는 소운동장으로 쓰고 있었으나 지금은 일부를 주차장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일부 가건물이 들어서 있다. 정문에 들어서면 우측으로 운동장이 보이고 왼쪽에는 대광중학교가 위치한다. 중학교와 소운동장 사이에는 사용하지 않는 스텐드가 있는데 학교 측에서 필요한 교실 면적을 확보하고 지하주차장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스텐드 일부를 철거해야만 했다. 스텐드와 계단이 철거되면서 기념관의 일부가 통로 역할을 해야 했는데 이는 외부 데크와 브릿지를 이용하여 해결하였다.
2층과 3층의 옥외 데크는 기념관 이용자를 위한 커뮤니티 공간일 뿐만 아니라 레벨차로 인해 단절된 기존 동선을 이어주는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또한 지역주민들의 편의를 위해서 주차 진입로를 직원용과 외부인용 동선으로 구분했으며 1층과 고층부의 출입구와 내부동선을 분리하였다.






-
상태
준공
-
발주
학교법인 대광학원
-
용도
교육
-
설계연도
2007
-
준공연도
2007
-
위치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
대지면적
9941.97m2
-
연면적
4628.86m2
-
건축면적
1473.69m2
-
규모
지하1층, 지상 4층
대지는 소운동장으로 쓰고 있었으나 지금은 일부를 주차장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일부 가건물이 들어서 있다. 정문에 들어서면 우측으로 운동장이 보이고 왼쪽에는 대광중학교가 위치한다. 중학교와 소운동장 사이에는 사용하지 않는 스텐드가 있는데 학교 측에서 필요한 교실 면적을 확보하고 지하주차장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스텐드 일부를 철거해야만 했다. 스텐드와 계단이 철거되면서 기념관의 일부가 통로 역할을 해야 했는데 이는 외부 데크와 브릿지를 이용하여 해결하였다.
2층과 3층의 옥외 데크는 기념관 이용자를 위한 커뮤니티 공간일 뿐만 아니라 레벨차로 인해 단절된 기존 동선을 이어주는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또한 지역주민들의 편의를 위해서 주차 진입로를 직원용과 외부인용 동선으로 구분했으며 1층과 고층부의 출입구와 내부동선을 분리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