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에 소재한 대룡중학교는 대룡초등학교와 인접해 있으며 남쪽 야산 방향으로 레벨이 5m 이상 높아 일반적인 배치에서 향의 불리함을 안고 있다. 대지는 2개의 도로와 접해 있고 전면 25m로 완충 녹지띠가 형성되어 있으며, 어린이공원과 야산으로 녹지축을 연장하고 있다. 남측 8m 도로에서는 보행 및 차량 진출입이 이루어지며 향후 25m 도로에서 보행자 주 진입이 이루어질 것이다.
계획 방향은 크게 2가지로 설정했다. 먼저 프로그램으로 접근해 일반 교실과 특성화 교실의 조닝을 구분하고 일반 교실은 조용한 면학 분위기를 형성하며 특성화 교실은 다양성과 창의성을 길러줄 수 있도록 공간을 계획했다. 다른 한 가지는 배치 계획에서 가장 중요한, 주변 콘텍스트에 대한 해석이다. 배치 계획 시 대룡초등학교의 배치 형태와 주변 녹지 환경, 아파트 주거 단지와의 조화를 최우선으로 두었다. 이로써 두 개의 학교가 하나의 학교 부지에서 공생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했다.
세 개의 교실동과 한 개의 다목적실로 이루어진 건물동은 운동장 뒷편에 남향으로 배치되어 각기 독립적인 자연 조망과 일조를 교실동에 확보했으며, 학년별로 구분된 각각의 교실동은 다시 독립된 코어를 지니며 양질의 학습공간을 조성했다. 또한 교실동 사이에는 편의시설과 교육연구시설의 기능으로 이루어져서 유기적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했다. 다양성과 창의성을 길러줄 수 있도록 외부공간과 적극적으로 연계된 특별 교실들은 운동장과 접지되어 배치되었다. 교정 내 건물 사이공간들은 외부 휴게공간과 녹지 공간으로 채워져 아이들의 감성적인 소양을 도모하도록 외부환경을 적극적으로 끌어들였다.













-
상태
준공
-
수상
- 2007 제16회 한국건축문화대상 본상
-
발주
춘천시교육청
-
용도
교육
-
설계연도
2004
-
준공연도
2007
-
위치
강원도 춘천시
-
대지면적
14,030.50m2
-
연면적
352,165.50m2
-
건축면적
9,942.80m2
-
규모
지상 5층
-
참여
백문기, 곽지영, 김승훈, 김용만, 이병호
춘천에 소재한 대룡중학교는 대룡초등학교와 인접해 있으며 남쪽 야산 방향으로 레벨이 5m 이상 높아 일반적인 배치에서 향의 불리함을 안고 있다. 대지는 2개의 도로와 접해 있고 전면 25m로 완충 녹지띠가 형성되어 있으며, 어린이공원과 야산으로 녹지축을 연장하고 있다. 남측 8m 도로에서는 보행 및 차량 진출입이 이루어지며 향후 25m 도로에서 보행자 주 진입이 이루어질 것이다.
계획 방향은 크게 2가지로 설정했다. 먼저 프로그램으로 접근해 일반 교실과 특성화 교실의 조닝을 구분하고 일반 교실은 조용한 면학 분위기를 형성하며 특성화 교실은 다양성과 창의성을 길러줄 수 있도록 공간을 계획했다. 다른 한 가지는 배치 계획에서 가장 중요한, 주변 콘텍스트에 대한 해석이다. 배치 계획 시 대룡초등학교의 배치 형태와 주변 녹지 환경, 아파트 주거 단지와의 조화를 최우선으로 두었다. 이로써 두 개의 학교가 하나의 학교 부지에서 공생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했다.
세 개의 교실동과 한 개의 다목적실로 이루어진 건물동은 운동장 뒷편에 남향으로 배치되어 각기 독립적인 자연 조망과 일조를 교실동에 확보했으며, 학년별로 구분된 각각의 교실동은 다시 독립된 코어를 지니며 양질의 학습공간을 조성했다. 또한 교실동 사이에는 편의시설과 교육연구시설의 기능으로 이루어져서 유기적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했다. 다양성과 창의성을 길러줄 수 있도록 외부공간과 적극적으로 연계된 특별 교실들은 운동장과 접지되어 배치되었다. 교정 내 건물 사이공간들은 외부 휴게공간과 녹지 공간으로 채워져 아이들의 감성적인 소양을 도모하도록 외부환경을 적극적으로 끌어들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