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중앙박물관은 1995년 국내 최초로 국제건축가연맹(UIA) 공인 아래 치러진 국제현상 설계공모다. 당시 박물관의 규모와 위상, 용산이라는 장소성과 대지의 성격 등 여러 면에서 대한민국 최대 문화 시설 프로젝트였으며, 대형 설계사무소가 단독으로 주요 문화 시설 현상설계에 단독으로 출품하여 당선된 최초의 사례다.
국립중앙박물관은 한국의 전통적인 자연관과 건축정신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건축의 기본 개념으로 설정했다. 박물관을 산과 물 즉 남산과 ‘거울못’이라는 대형 호수 사이에 위치시킨 건물 배치는 남산을 북쪽으로 두고 남쪽으로 한강을 바라보게 하여 배산임수를 따른다. 박물관 건물은 성벽을 모티브로 한 긴 성곽 형상으로 구현했다. 높은 벽이 지붕 높이까지 뻗어 오르게 하여 성벽 모티브를 강조하였는데, 이는 천장으로부터 자연광이 각층에 미칠 수 있게 하는 실리적인 기능을 고려한 것이다. 박물관과 남산 축이 교차하는 지점에 놓인 거울못은 산과 물을 아우르며 음과 양의 조화, 부동과 유동의 에너지에 대응하면서도 홍수 시 침수에 대비해 박물관을 보호하는 실용적인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박물관 중심에는 대청마루처럼 지붕은 있으나 벽이 없어 안팎의 경계 그 자체인 ‘열린마당’을 두었다. 열린마당은 모든 사람에게 개방된 공간으로서 전시실, 공연장 등 박물관 모든 시설 이용의 시작점이 되는 곳이자, 박물관 영역 내의 자연경관을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산과 물 사이에 있는 안전하고 평온한 성곽이라는 개념에서 경관을 구성하여, 박물관 영역 내에 호수, 연못, 폭포, 정원, 식물원 등을 배치해 공원의 경관과 문화시설을 조화시키고자 하였다.
기사
아카이브
-
고객
국립중앙박물관 건립추진기획단
-
용도
문화, 공공
-
위치
서울특별시 용산구
-
기간
1997-12-29 ~ 2003-02-28
-
준공연도
2004
-
설계
(주)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
감리
(주)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
대지면적
307,227.83m2
-
건축면적
49.117.38m2
-
연면적
137,088.95m2
-
규모
지하 1층, 지상 6층









국립중앙박물관은 1995년 국내 최초로 국제건축가연맹(UIA) 공인 아래 치러진 국제현상 설계공모다. 당시 박물관의 규모와 위상, 용산이라는 장소성과 대지의 성격 등 여러 면에서 대한민국 최대 문화 시설 프로젝트였으며, 대형 설계사무소가 단독으로 주요 문화 시설 현상설계에 단독으로 출품하여 당선된 최초의 사례다.
국립중앙박물관은 한국의 전통적인 자연관과 건축정신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건축의 기본 개념으로 설정했다. 박물관을 산과 물 즉 남산과 ‘거울못’이라는 대형 호수 사이에 위치시킨 건물 배치는 남산을 북쪽으로 두고 남쪽으로 한강을 바라보게 하여 배산임수를 따른다. 박물관 건물은 성벽을 모티브로 한 긴 성곽 형상으로 구현했다. 높은 벽이 지붕 높이까지 뻗어 오르게 하여 성벽 모티브를 강조하였는데, 이는 천장으로부터 자연광이 각층에 미칠 수 있게 하는 실리적인 기능을 고려한 것이다. 박물관과 남산 축이 교차하는 지점에 놓인 거울못은 산과 물을 아우르며 음과 양의 조화, 부동과 유동의 에너지에 대응하면서도 홍수 시 침수에 대비해 박물관을 보호하는 실용적인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박물관 중심에는 대청마루처럼 지붕은 있으나 벽이 없어 안팎의 경계 그 자체인 ‘열린마당’을 두었다. 열린마당은 모든 사람에게 개방된 공간으로서 전시실, 공연장 등 박물관 모든 시설 이용의 시작점이 되는 곳이자, 박물관 영역 내의 자연경관을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산과 물 사이에 있는 안전하고 평온한 성곽이라는 개념에서 경관을 구성하여, 박물관 영역 내에 호수, 연못, 폭포, 정원, 식물원 등을 배치해 공원의 경관과 문화시설을 조화시키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