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학교 행복기숙사

Ajou University Happy-Dormitory

한국사학진흥재단에서는 공공기숙사를 확충하는 행복기숙사 지원사업으로 대학생들의 거주 부담 완화 및 주거복지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건립되는 아주대학교 행복기숙사는 캠퍼스 마스터플랜을 따르는 한편 가파른 경사지에 위치, 지면의 다양한 높이차를 극복하는 조건 속에서 대지와 건물 및 동선의 중심이 되는 장소가 되도록 조성하는 데에 설계 주안점을 둔다. 동시에 계획설계-기본설계-실시설계에 이르는 각 설계 단계마다 적합한 BIM 프로그램 및 3D 데이터를 디자인에 적극 활용한 사례기도 하다.

먼저 배치 계획 상에서는 인문계열과 약학계열 영역 북측 끝에 자리한 다산관과 혜강관, 동측 끝의 일신관과 국제학사를 연결하는 수평 및 사선 축을 반영하고 학생들의 동선을 연결하는 캠퍼스 허브를 조성해 마스터플랜을 완성했다. 다음으로 매스 계획에서는 기숙사 시설과 편의시설을 상부층(3층~12층)과 하부층(지하 1층~2층)으로 나눠 분리된 형태로 구성했고, 특히 아주대학교 캠퍼스 건물 입면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격자형 그리드 체계를 계승하고자 했다. 사생실의 반복적인 구조에서 올 수 있는 시각적인 단조로움은 사선 벽체를 도입, 벽면 안쪽으로 창호를 입체감 있게 배치하며 리듬감을 주는 방식으로 상쇄했다.

한편 남측 강의 및 실습 구역에서 접근하는 주출입 동선에서는 기숙사 영역의 열린 중정과 연결되는 커뮤니티 계단과 필로티 공간으로 개방성을 확보했다. 가파른 지형에 대응하고자 지하 1층 및 지상 1층에 다양한 출입구를 배치하고, 이들 동선은 학생들의 편의 시설 및 복지 시설을 집중 배치한 기숙사 2층까지 계단형 휴게공간으로 연계하는 계획을 통해 상징적이고 기능적인 특화공간으로 구성하고자 했다. 유지관리 측면에서는 기숙사 시설 계획 특성에 따른 모듈화 및 반복 구조 계획으로 통합관리 및 전체 자동 검토를 용이하게 하고, 안전을 위해 합리적인 동선과 피난계획의 정합성을 높였으며, 실 내부 위생 설비를 미리 검토해 발주처 및 시공사와 보다 원활히 소통할 수 있었다.

  • 상태

    진행

  • 수상
    • 2025 BIM Awards 디자인부문 대상
  • 발주

    아주대학교행복기숙사 유한회사

  • 용도

    교육

  • 설계연도

    2024

  • 준공연도

    2027(예정)

  • 위치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 대지면적

    7,634.12m2

  • 연면적

    17,754.28m2

  • 건축면적

    1,653.04m2

  • 규모

    지하 1층, 지상 12층

  • 설계
  • 참여

    김도홍, 김우진, 이남희, 조지훈, 차민주, 황세영

한국사학진흥재단에서는 공공기숙사를 확충하는 행복기숙사 지원사업으로 대학생들의 거주 부담 완화 및 주거복지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건립되는 아주대학교 행복기숙사는 캠퍼스 마스터플랜을 따르는 한편 가파른 경사지에 위치, 지면의 다양한 높이차를 극복하는 조건 속에서 대지와 건물 및 동선의 중심이 되는 장소가 되도록 조성하는 데에 설계 주안점을 둔다. 동시에 계획설계-기본설계-실시설계에 이르는 각 설계 단계마다 적합한 BIM 프로그램 및 3D 데이터를 디자인에 적극 활용한 사례기도 하다.

먼저 배치 계획 상에서는 인문계열과 약학계열 영역 북측 끝에 자리한 다산관과 혜강관, 동측 끝의 일신관과 국제학사를 연결하는 수평 및 사선 축을 반영하고 학생들의 동선을 연결하는 캠퍼스 허브를 조성해 마스터플랜을 완성했다. 다음으로 매스 계획에서는 기숙사 시설과 편의시설을 상부층(3층~12층)과 하부층(지하 1층~2층)으로 나눠 분리된 형태로 구성했고, 특히 아주대학교 캠퍼스 건물 입면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격자형 그리드 체계를 계승하고자 했다. 사생실의 반복적인 구조에서 올 수 있는 시각적인 단조로움은 사선 벽체를 도입, 벽면 안쪽으로 창호를 입체감 있게 배치하며 리듬감을 주는 방식으로 상쇄했다.

한편 남측 강의 및 실습 구역에서 접근하는 주출입 동선에서는 기숙사 영역의 열린 중정과 연결되는 커뮤니티 계단과 필로티 공간으로 개방성을 확보했다. 가파른 지형에 대응하고자 지하 1층 및 지상 1층에 다양한 출입구를 배치하고, 이들 동선은 학생들의 편의 시설 및 복지 시설을 집중 배치한 기숙사 2층까지 계단형 휴게공간으로 연계하는 계획을 통해 상징적이고 기능적인 특화공간으로 구성하고자 했다. 유지관리 측면에서는 기숙사 시설 계획 특성에 따른 모듈화 및 반복 구조 계획으로 통합관리 및 전체 자동 검토를 용이하게 하고, 안전을 위해 합리적인 동선과 피난계획의 정합성을 높였으며, 실 내부 위생 설비를 미리 검토해 발주처 및 시공사와 보다 원활히 소통할 수 있었다.

필름

연관 프로젝트

연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