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본관

Administration Build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서울대학교 본관(현 행정관)은 캠퍼스 마스터플랜 아래 배치 계획이 이루어졌다. 캠퍼스는 높은 산으로 둘러싸여 있고, 부지의 경사가 급한 자연 조건을 가졌기에 이 조건들을 최대한 살리며 자연과 조화롭도록 계획되었다. 본 건물은 전면의 광장과 후면의 중앙도서관을 연결하는 축선 상에 위치한다. 이 축을 연결하는 중앙부는 저층부 필로티로 외부와 연결되며, 이는 학생과 교직원들의 동선을 원활히 해 주는 역할을 한다.

평면은 기능에 충실하도록 계획되었다. 1층과 2층에는 학생들이 자주 이용하는 우체국 및 각종 서류를 발급하는 기능이 배치되었고, 필로티 부분에서 로비를 통하지 않고 곧바로 2층에 진입할 수 있는 별도의 동선이 계획되었다. 메인 로비는 2층까지 오픈하여 이용객들에게 대학 본관으로서 지닌 위용과 품위를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3~5층에는 대학의 행정 기능을 수행하는 실을 집중적으로 배치했다.

구조는 철근 콘크리트 라멘조이며 복도 양측에 기둥을 배치했다. 1, 2층은 검정색 석재 기둥과 브론즈 알루미늄 커튼월로 계획되었다. 자칫 육중한 느낌을 자아낼 수 있는 본 건물의 외관은, 파사드를 수평으로 가로지르는 보와 그 사이를 반복적으로 관통하는 수직 루버가 만들어내는 음영 효과로 부드러운 느낌을 준다. 이는 서울대학교 캠퍼스의 지리적 조건에 감응한 결과다.

기사

아카이브

  • 상태

    준공

  • 수상
    • 2020 제43회 한국건축가협회건축상 특별상 무애25년건축상
  • 발주

    서울대학교

  • 설계연도

    1973

  • 준공연도

    1975

  • 위치

    서울특별시 관악구

  • 대지면적

    2,956,332m2

  • 연면적

    10,047m2

  • 건축면적

    1,793.40m2

  • 규모

    지하 1층, 지상 5층

  • 참여

    강상묵, 권도웅, 김동선, 김창일, 양진황, 윤구행, 이서형, 이종우

서울대학교 본관(현 행정관)은 캠퍼스 마스터플랜 아래 배치 계획이 이루어졌다. 캠퍼스는 높은 산으로 둘러싸여 있고, 부지의 경사가 급한 자연 조건을 가졌기에 이 조건들을 최대한 살리며 자연과 조화롭도록 계획되었다. 본 건물은 전면의 광장과 후면의 중앙도서관을 연결하는 축선 상에 위치한다. 이 축을 연결하는 중앙부는 저층부 필로티로 외부와 연결되며, 이는 학생과 교직원들의 동선을 원활히 해 주는 역할을 한다.

평면은 기능에 충실하도록 계획되었다. 1층과 2층에는 학생들이 자주 이용하는 우체국 및 각종 서류를 발급하는 기능이 배치되었고, 필로티 부분에서 로비를 통하지 않고 곧바로 2층에 진입할 수 있는 별도의 동선이 계획되었다. 메인 로비는 2층까지 오픈하여 이용객들에게 대학 본관으로서 지닌 위용과 품위를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3~5층에는 대학의 행정 기능을 수행하는 실을 집중적으로 배치했다.

구조는 철근 콘크리트 라멘조이며 복도 양측에 기둥을 배치했다. 1, 2층은 검정색 석재 기둥과 브론즈 알루미늄 커튼월로 계획되었다. 자칫 육중한 느낌을 자아낼 수 있는 본 건물의 외관은, 파사드를 수평으로 가로지르는 보와 그 사이를 반복적으로 관통하는 수직 루버가 만들어내는 음영 효과로 부드러운 느낌을 준다. 이는 서울대학교 캠퍼스의 지리적 조건에 감응한 결과다.

기사

아카이브

필름

연관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