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진전문대학 국제관광계열 부설영어교육원

English Language Center Of School

영어마을은 영어사용권 국가의 전형적인 공간을 모사하여 영어를 친숙하게 체험하기 위한 익숙함의 공간들로 구성된다. 익숙함의 공간은 교육생들에게 완벽한 영어권 구역에 있음을 느끼게 하는 각종 이야기가 있는 건물, 입간판, 도로표지판 등의 공간구성요소 등으로 구성된다. 이들은 크게 영어권 체험을 위한 시츄에이션 타운, 학습을 위한 캠퍼스타운 그리고 숙식을 위한 생활편의시설로 구성되며 그 중심에는 원형의 메인 광장이 있어 매개 및 분절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적 장소는 인간과 공간이 교우하는 곳이며 그 위에서 일어난 사건들의 기억이 녹아든 이미지 집적체이다. 단순 텍스트북 위주의 교육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실생활을 통해 실생활에 필요한 영어를 주입식이 아니라 필요에 의해 습득하게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외국의 실생활의 다양성을 체험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하며 이러한 공간은 물리적인 환경을 넘어서 시간적, 계절적으로도 다양성이 유지되어야 한다.

  • 상태

    준공

  • 발주

    영진교육재단

  • 용도

    교육, 호스피탈리티

  • 설계연도

    2005

  • 준공연도

    2007

  • 위치

    경상북도 칠곡군

  • 대지면적

    29940.00m2

  • 연면적

    26006.00m2

  • 규모

    지하 2층, 지상 5층

영어마을은 영어사용권 국가의 전형적인 공간을 모사하여 영어를 친숙하게 체험하기 위한 익숙함의 공간들로 구성된다. 익숙함의 공간은 교육생들에게 완벽한 영어권 구역에 있음을 느끼게 하는 각종 이야기가 있는 건물, 입간판, 도로표지판 등의 공간구성요소 등으로 구성된다. 이들은 크게 영어권 체험을 위한 시츄에이션 타운, 학습을 위한 캠퍼스타운 그리고 숙식을 위한 생활편의시설로 구성되며 그 중심에는 원형의 메인 광장이 있어 매개 및 분절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적 장소는 인간과 공간이 교우하는 곳이며 그 위에서 일어난 사건들의 기억이 녹아든 이미지 집적체이다. 단순 텍스트북 위주의 교육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실생활을 통해 실생활에 필요한 영어를 주입식이 아니라 필요에 의해 습득하게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외국의 실생활의 다양성을 체험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하며 이러한 공간은 물리적인 환경을 넘어서 시간적, 계절적으로도 다양성이 유지되어야 한다.

필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