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아시안게임을 위해 건립된 인천 AG 경기장 수영(구)장(현 드림파크 스포츠센터)은 경기장 기능을 최대한 충족하는 동시에 관람객 및 선수, 임원들의 각 동선을 입체적으로 분리하고, 지면 레벨과 동선을 연결해 자연스러운 경기 관람과 주변 경관 또한 어우러지도록 했다. 수영장 및 승마장 각 부지의 자연환경을 최대한 존중하면서 이를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대지레벨 및 수공간의 위치 등을 고려해 배치했다. 이는 기존 경관에 인간의 축제를 함께 담아내고, 인간과 자연이 서로 구속하지 않고 공존하는 축제의 장으로서의 아시안게임 경기장이 되기 위함이었다.
시민 체육센터로서 활용에 적극적인 시설인 수영장 및 승마장을 제공해 수도권 매립지 주변 주민들에게 보다 나은 생활환경 및 문화체육활동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지역 주민들에게 편의성과 함께 자부심을 줄 수 있는 시설 중 하나가 될 것이다. 또한 기존 수도권 매립지 공원화 사업과 연계해 자연친화적 공간 외에도 주민 편의시설을 제공한다.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진 새로운 공간은 지역 사회의 새로운 비전을 제시할 원동력을 제공할 것이다.













-
상태
준공
-
수상
- 2014 인천광역시건축상 장려상
-
발주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
용도
스포츠
-
설계연도
2011
-
준공연도
2014
-
위치
인천광역시 서구
-
대지면적
4,088,833.06m2
-
연면적
38,341.13m2
-
건축면적
9,546.32 m2
-
규모
지하 1층, 지상 3층
-
참여
백우흠, 기현철, 최광헌
2014 아시안게임을 위해 건립된 인천 AG 경기장 수영(구)장(현 드림파크 스포츠센터)은 경기장 기능을 최대한 충족하는 동시에 관람객 및 선수, 임원들의 각 동선을 입체적으로 분리하고, 지면 레벨과 동선을 연결해 자연스러운 경기 관람과 주변 경관 또한 어우러지도록 했다. 수영장 및 승마장 각 부지의 자연환경을 최대한 존중하면서 이를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대지레벨 및 수공간의 위치 등을 고려해 배치했다. 이는 기존 경관에 인간의 축제를 함께 담아내고, 인간과 자연이 서로 구속하지 않고 공존하는 축제의 장으로서의 아시안게임 경기장이 되기 위함이었다.
시민 체육센터로서 활용에 적극적인 시설인 수영장 및 승마장을 제공해 수도권 매립지 주변 주민들에게 보다 나은 생활환경 및 문화체육활동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지역 주민들에게 편의성과 함께 자부심을 줄 수 있는 시설 중 하나가 될 것이다. 또한 기존 수도권 매립지 공원화 사업과 연계해 자연친화적 공간 외에도 주민 편의시설을 제공한다.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진 새로운 공간은 지역 사회의 새로운 비전을 제시할 원동력을 제공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