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지가 창원 신도시 내의 공장과 유통 시설 지역 내부에 있다는 점, 넓은 평원의 도로변에 있다는 점을 감안해 수평적 요소인 스페이스 트러스(space truss)와, 지나쳐 버리기 쉬운 시선의 흐름을 붙잡아 둘 4개의 원형 실린더를 강한 이미지 구성 주제로 삼았다.
전시, 운동 그리고 집회를 주 목적으로 하는 좌우 2개의 홀은 계단, 화장실 등을 원형 실린더에 넣음으로써 단순화했으며 건물 중앙부의 중정 쪽으로 벽체를 열어 완전 개방 가능토록 설계해 주 목적 이외에도 공장, 유통 지역에서 일어날 수 있는 크고 작은 어떤 행사도 수용 가능하도록 기능화했다. 중정의 단은 양쪽 실과 다르게 변화를 주어 평면적인 실내 분위기의 변이적 요소로 사용하였으며 실내 운동 경기 시 벽체를 해체하면 자유로운 관람용 간이 스탠드로 바뀌게 된다. 전면 두 원통 사이 관리 부분의 매스는 오른쪽으로 치우치게 배치함으로써 지루해지기 쉬운 대칭에서 변화 요소로 삼았으며 또 처음 이곳을 찾는 이에게 갈 방향을 안내하고 암시해 주는 역할을 담당케 했다.
기사

-
상태
준공
-
발주
한국산업단지공단
-
용도
공공, 문화
-
설계연도
1979
-
준공연도
1980
-
위치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
대지면적
32,894m2
-
연면적
5,491m2
-
건축면적
3,702m2
-
규모
지상 2층
대지가 창원 신도시 내의 공장과 유통 시설 지역 내부에 있다는 점, 넓은 평원의 도로변에 있다는 점을 감안해 수평적 요소인 스페이스 트러스(space truss)와, 지나쳐 버리기 쉬운 시선의 흐름을 붙잡아 둘 4개의 원형 실린더를 강한 이미지 구성 주제로 삼았다.
전시, 운동 그리고 집회를 주 목적으로 하는 좌우 2개의 홀은 계단, 화장실 등을 원형 실린더에 넣음으로써 단순화했으며 건물 중앙부의 중정 쪽으로 벽체를 열어 완전 개방 가능토록 설계해 주 목적 이외에도 공장, 유통 지역에서 일어날 수 있는 크고 작은 어떤 행사도 수용 가능하도록 기능화했다. 중정의 단은 양쪽 실과 다르게 변화를 주어 평면적인 실내 분위기의 변이적 요소로 사용하였으며 실내 운동 경기 시 벽체를 해체하면 자유로운 관람용 간이 스탠드로 바뀌게 된다. 전면 두 원통 사이 관리 부분의 매스는 오른쪽으로 치우치게 배치함으로써 지루해지기 쉬운 대칭에서 변화 요소로 삼았으며 또 처음 이곳을 찾는 이에게 갈 방향을 안내하고 암시해 주는 역할을 담당케 했다.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