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경그룹 종합연구소

Sunkyong Group R&D Center

선경그룹 연구단지는 17만 5천 평 부지에 3개 연구동, 4개 실증실험동 포함 총 14개 동을 갖춘 대규모 연구단지로 계획되었다. 에너지, 화학, 환경 관련 첨단 기술 개발을 맡은 유공 대덕기술원(선경그룹 종합연구소)은 설계 계획에서 두 가지의 요구조건을 충족시켜야 했다. 단계별 증축으로 초기 투자의 비용을 줄이고, 상황 변화에 따른 적응성과 융통성을 높이는 것이다. 즉 선경종합연구소 설계에서 중요한 건축적 본질은 형태의 질서보다 프로세스의 질서에 더 비중을 두고 연구소의 증축과 변경에 대비해 이를 경제적이고 질서 있게 처리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모듈 결정, 에너지 공급 및 처리 방법, 상호 작용 공간 확보, 프로그램 조정 등의 작업 단계를 거쳤다. 설계 진행 시 연구소 컨설턴트 EWA의 자문을 받아 프로그램 위주 계획으로 기본형을 모색하고 이를 토대로 대지 환경과 부속시설의 배치를 의식한 변형을 추구했다.

기사

  • 상태

    준공

  • 수상
    • 1996 한국건축문화대상 준공부문 입선
  • 발주

    ㈜유공 (현 SK이노베이션)

  • 용도

    연구

  • 설계연도

    1989

  • 준공연도

    1993(1단계), 1995(최종)

  • 위치

    대전광역시 유성구

  • 연면적

    50,015.00m2

  • 규모

    지하 1층, 지상 4층

  • 컨소시엄

    CRSS(마스터플랜), EWA(Earl Walls Association; 연구소 컨설턴트)

  • 참여

    원종호, 정용교, 주정호 외

선경그룹 연구단지는 17만 5천 평 부지에 3개 연구동, 4개 실증실험동 포함 총 14개 동을 갖춘 대규모 연구단지로 계획되었다. 에너지, 화학, 환경 관련 첨단 기술 개발을 맡은 유공 대덕기술원(선경그룹 종합연구소)은 설계 계획에서 두 가지의 요구조건을 충족시켜야 했다. 단계별 증축으로 초기 투자의 비용을 줄이고, 상황 변화에 따른 적응성과 융통성을 높이는 것이다. 즉 선경종합연구소 설계에서 중요한 건축적 본질은 형태의 질서보다 프로세스의 질서에 더 비중을 두고 연구소의 증축과 변경에 대비해 이를 경제적이고 질서 있게 처리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모듈 결정, 에너지 공급 및 처리 방법, 상호 작용 공간 확보, 프로그램 조정 등의 작업 단계를 거쳤다. 설계 진행 시 연구소 컨설턴트 EWA의 자문을 받아 프로그램 위주 계획으로 기본형을 모색하고 이를 토대로 대지 환경과 부속시설의 배치를 의식한 변형을 추구했다.

기사

필름

연관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