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80년대 국내외 항공 수요의 폭발적인 증가세로 김포공항 등 국내 공항들의 수송 능력이 한계에 다다를 것으로 우려되자, 정부는 1989년 6월부터 1990년 4월까지 수도권 전 지역을 대상으로 신국제공항의 입지 선정을 위한 타당성 조사를 실시했다. 정밀 조사를 거쳐 1990년 6월 최종적으로 영종도 일대가 확정되어, 영종도와 영유도 사이의 바다를 연장 17.3km, 높이 9m의 방조제로 막은 1,435만여 평의 대지 중 355만 평의 부지에 인천국제공항이 건설되었다. 1992~2001년 1단계 건설 공사를 통해 제1여객터미널과 제1·2활주로, 계류장 및 각종 부대시설이 조성되었다.
제1여객터미널은 국제 현상설계를 통해 BJHW 컨소시엄(정림건축, 희림건축, 범건축, 원도시건축)이 총괄책임을, C.W.펜트레스 J.H. 브래드번 어소시에이츠(C.W.Fentress J.H.Bradburn & Associates)가 건축 계획을, 맥클리어(McClier Aviation Group)가 공항 엔지니어링을 맡아 설계했다. 이후 실시설계는 KBHJW 컨소시엄(까치건축, 범건축, 희림건축, 정림건축, 원도시건축)이 중심이 되어 진행하되, 국외 협력사로 C.W.펜트레스 J.H. 브래드번 어소시에이츠 등 다수의 업체가 참여하였다. 여객터미널의 지붕 측면은 하늘을 날아오르려는 듯한 상징적 형태로, 전통 건축의 자연스러운 지붕 선을 연상시킨다. 하늘로 솟은 기둥들은 항구에 정박한 선박을 연상시켜 해상공항의 이미지를 부각하고자 하였다.
-
상태
준공
-
수상
- 2002 한국건축가협회상 본상
-
발주
인천국제공항공사
-
용도
교통, 공공
-
설계연도
1992
-
준공연도
2001
-
위치
인천광역시 중구
-
대지면적
11,724,000.00m2
-
연면적
496,000.00m2
-
건축면적
179,684.00m2
-
규모
지하 2층, 지상 4층
-
협력
까치건축, 범건축, 희림건축, 원도시건축, Fentress Bradburn, McClier Corporation






1980년대 국내외 항공 수요의 폭발적인 증가세로 김포공항 등 국내 공항들의 수송 능력이 한계에 다다를 것으로 우려되자, 정부는 1989년 6월부터 1990년 4월까지 수도권 전 지역을 대상으로 신국제공항의 입지 선정을 위한 타당성 조사를 실시했다. 정밀 조사를 거쳐 1990년 6월 최종적으로 영종도 일대가 확정되어, 영종도와 영유도 사이의 바다를 연장 17.3km, 높이 9m의 방조제로 막은 1,435만여 평의 대지 중 355만 평의 부지에 인천국제공항이 건설되었다. 1992~2001년 1단계 건설 공사를 통해 제1여객터미널과 제1·2활주로, 계류장 및 각종 부대시설이 조성되었다.
제1여객터미널은 국제 현상설계를 통해 BJHW 컨소시엄(정림건축, 희림건축, 범건축, 원도시건축)이 총괄책임을, C.W.펜트레스 J.H. 브래드번 어소시에이츠(C.W.Fentress J.H.Bradburn & Associates)가 건축 계획을, 맥클리어(McClier Aviation Group)가 공항 엔지니어링을 맡아 설계했다. 이후 실시설계는 KBHJW 컨소시엄(까치건축, 범건축, 희림건축, 정림건축, 원도시건축)이 중심이 되어 진행하되, 국외 협력사로 C.W.펜트레스 J.H. 브래드번 어소시에이츠 등 다수의 업체가 참여하였다. 여객터미널의 지붕 측면은 하늘을 날아오르려는 듯한 상징적 형태로, 전통 건축의 자연스러운 지붕 선을 연상시킨다. 하늘로 솟은 기둥들은 항구에 정박한 선박을 연상시켜 해상공항의 이미지를 부각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