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계3동 주민센터 공간개선사업

Wolgye3-dong community center

월계3동 주민센터는 건축가가 원하는 공간이 아닌 주민들이 바라는 공간과 분위기를 실현하기 위해 70% 이상의 아이디어로 사용자와 함께 100%를 만들어 가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찾아가는 동 주민센터를, 찾아오는 동 주민센터라는 개념으로 사용자들에게 항상 열린 카페 같은 주민센터를 만들고자 했다.

민원실의 기둥에 의한 답답한 공간, 공간별 영역 혼재에 따른 불합리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민원 영역과 사무 영역의 조닝을 명확히 구분하고, 민원공간은 방풍실 셋백과 창고를 철거하고, 사무공간은 부족했던 수납공간을 설치하여 공간사용의 효율성과 영역성을 확보했다. 영역별 색채 계획을 하여 민원 영역은 따뜻한 나무 색감을, 사무영역은 넓어 보이는 흰색을 적용하였고 민원대 하부에 청고벽돌로 마감하여 시선을 아래로 향하게 했다.

월계3동 주민센터는 지역의 카페로 부담 없이 들러 차를 마시고, 담소를 나누는 장소가 되고 있다. 주민센터의 기능은 계속 변화할 것이고 향후 주민들의 공간이 되길 바란다.

  • 상태

    준공

  • 발주

    노원구청

  • 용도

    오피스

  • 설계연도

    2015

  • 준공연도

    2016

  • 위치

    서울특별시 노원구

  • 대지면적

    330.12m2

  • 연면적

    184m2

  • 건축면적

    185.5m2

  • 규모

    지하 1층, 지상 3층

  • 참여

    김용만, 김유재, 윤은주

월계3동 주민센터는 건축가가 원하는 공간이 아닌 주민들이 바라는 공간과 분위기를 실현하기 위해 70% 이상의 아이디어로 사용자와 함께 100%를 만들어 가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찾아가는 동 주민센터를, 찾아오는 동 주민센터라는 개념으로 사용자들에게 항상 열린 카페 같은 주민센터를 만들고자 했다.

민원실의 기둥에 의한 답답한 공간, 공간별 영역 혼재에 따른 불합리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민원 영역과 사무 영역의 조닝을 명확히 구분하고, 민원공간은 방풍실 셋백과 창고를 철거하고, 사무공간은 부족했던 수납공간을 설치하여 공간사용의 효율성과 영역성을 확보했다. 영역별 색채 계획을 하여 민원 영역은 따뜻한 나무 색감을, 사무영역은 넓어 보이는 흰색을 적용하였고 민원대 하부에 청고벽돌로 마감하여 시선을 아래로 향하게 했다.

월계3동 주민센터는 지역의 카페로 부담 없이 들러 차를 마시고, 담소를 나누는 장소가 되고 있다. 주민센터의 기능은 계속 변화할 것이고 향후 주민들의 공간이 되길 바란다.

필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