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G인바이츠 R&D 센터

CG Invites R&D Center

연구 환경에 따라 변화와 확장이 가능한 모듈 제안 연구의 규모나 성격에 따라 연구공간을 쉽게 바꾸고 확장할 수 있는 모듈화된 기준층을 구축한다. 가변성과 확장가능성은 주력분야인 바이오 연구뿐만 아니라 다양한 연구 활동의 수용을 가능하게 한다.
소통과 확장이 가능한 연구 공간 계획 24개의 Bench의 수용이 가능한 적정규모의 면적을 확보하였으며, 연구자들간의 소통과 교류가 일어날 수 있는 콜라보레이션 존을 확보했다. 또한 15.5m의 무주공간계획은 공간을 사용 환경에 따라 유연한 이용이 가능하게 한다.

사업대지의 잠재적 가치와 가능성을 유입시키는 배치 계획 서남측으로 열린 공간과 북측 마곡중앙8로에서의 인지성을 고려하여 자리잡은 건축물에 녹지축을 유입시키는 배치계획을 하였다. 녹지를 향해 열린 남측을 개방하여 외부공간을 적극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옥외공간을 제공한다.
연구원들의 자발적 몰입을 돕는 최상의 통합지원공간_Community Zone 연구원들의 편의와 건강증진, 자기계발, 학습, 교류 성격을 복합화한 통합지원공간을 제공한다. 자연을 실내로 유입하고 외부환경을 적극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든다.

유리커튼월 + 통합발코니 투명한 유리박스를 둘러싼 통합발코니로 구성된 입면은 외부환경과 소통하는 연구시설로서 쾌적한 환경을 제공합니다. 투명한 유리는 외부와의 소통을 통해 풍경을 실내로 끌어 들이고, 금속패널로 구성된 통합발코니는 친환경적 요소로 실내의 일사량을 조절하여 실내 빛환경 온도를 쾌적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쾌적하고 개방감 있는 연구공간을 제공하는 단면계획 연구원들이 연구 활동에 집중할 수 있도록 층별 공조방식과 즉각적인 오염물질 배출 시스템을 갖추었다. 노출천장을 이용해 연구실에 넓을 개방감을 부여하여 보다 쾌적한 연구공간을 제공한다.

  • 상태

    준공

  • 발주

    씨지인바이츠 주식회사

  • 용도

    연구

  • 설계연도

    2019

  • 준공연도

    2023

  • 위치

    서울특별시 강서구

  • 대지면적

    3,025.00m2

  • 연면적

    24,570.93m2

  • 건축면적

    1,770.00m2

  • 규모

    지하 6층, 지상 7층

  • 참여

    안정택, 김인애, 신정훈, 신혜림, 안시음, 안효윤

연구 환경에 따라 변화와 확장이 가능한 모듈 제안 연구의 규모나 성격에 따라 연구공간을 쉽게 바꾸고 확장할 수 있는 모듈화된 기준층을 구축한다. 가변성과 확장가능성은 주력분야인 바이오 연구뿐만 아니라 다양한 연구 활동의 수용을 가능하게 한다.
소통과 확장이 가능한 연구 공간 계획 24개의 Bench의 수용이 가능한 적정규모의 면적을 확보하였으며, 연구자들간의 소통과 교류가 일어날 수 있는 콜라보레이션 존을 확보했다. 또한 15.5m의 무주공간계획은 공간을 사용 환경에 따라 유연한 이용이 가능하게 한다.

사업대지의 잠재적 가치와 가능성을 유입시키는 배치 계획 서남측으로 열린 공간과 북측 마곡중앙8로에서의 인지성을 고려하여 자리잡은 건축물에 녹지축을 유입시키는 배치계획을 하였다. 녹지를 향해 열린 남측을 개방하여 외부공간을 적극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옥외공간을 제공한다.
연구원들의 자발적 몰입을 돕는 최상의 통합지원공간_Community Zone 연구원들의 편의와 건강증진, 자기계발, 학습, 교류 성격을 복합화한 통합지원공간을 제공한다. 자연을 실내로 유입하고 외부환경을 적극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든다.

유리커튼월 + 통합발코니 투명한 유리박스를 둘러싼 통합발코니로 구성된 입면은 외부환경과 소통하는 연구시설로서 쾌적한 환경을 제공합니다. 투명한 유리는 외부와의 소통을 통해 풍경을 실내로 끌어 들이고, 금속패널로 구성된 통합발코니는 친환경적 요소로 실내의 일사량을 조절하여 실내 빛환경 온도를 쾌적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쾌적하고 개방감 있는 연구공간을 제공하는 단면계획 연구원들이 연구 활동에 집중할 수 있도록 층별 공조방식과 즉각적인 오염물질 배출 시스템을 갖추었다. 노출천장을 이용해 연구실에 넓을 개방감을 부여하여 보다 쾌적한 연구공간을 제공한다.

필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