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타필드 하남과 고양 이후 명실상부한 체류형 쇼핑 테마파크로서, 스타필드 안성 또한 그 규모와 형태, 프로그램을 유지하면서도 새로운 트렌드와 시대 변화를 반영하고자 다방면의 주안점을 고려해 설계를 진행했다. 경부고속도로 안성IC에 인접해 있어 접근성과 가시성을 높일 수 있는 입지적 장점을 살리는 것, 상수리나무 숲에 인접한 주변의 뛰어난 자연환경에 순응하는 배치와 외관 디자인으로 건물 자체가 주변 환경과 잘 어우러지도록 계획하는 것에 초점을 맞췄다.
실내에 주로 머무르는 쇼핑몰의 필요 조건을 충족하면서 안팎이 소통하는 디자인과 배치로 방문자들이 새로운 경험과 휴식, 힐링을 체험하도록 디자인 컨셉부터 외관, 인테리어, 천창 디자인과 조명 디자인에 이르기까지 모두가 함께 고려된 통합 디자인으로 설계를 진행했다.












-
상태
준공
-
수상
- 2022 제27회 경기도건축문화상 입선
-
발주
신세계프라퍼티 + 터브먼(Taubman)
-
용도
복합, 상업
-
설계연도
2010
-
준공연도
2020
-
위치
경기도 안성시 공도읍
-
대지면적
109,173.00m2
-
연면적
239,402.26m2
-
건축면적
54,400.11m2
-
규모
지하 2층, 지상 6층
-
설계
설계3그룹 복합설계본부 / 라이프스타일 크리에이션 BU
-
협력
benoy
-
참여
배문기, 김진성, 곽진영, 김동구, 김민성, 김요셉, 김형욱, 김형주, 명성훈, 박민호, 박승진, 박준하, 백승환, 송홍찬, 이흥수, 이호, 임대호, 임희수, 천지혜, 최진규
-
사진
윤준환, 심기섭(드론)
스타필드 하남과 고양 이후 명실상부한 체류형 쇼핑 테마파크로서, 스타필드 안성 또한 그 규모와 형태, 프로그램을 유지하면서도 새로운 트렌드와 시대 변화를 반영하고자 다방면의 주안점을 고려해 설계를 진행했다. 경부고속도로 안성IC에 인접해 있어 접근성과 가시성을 높일 수 있는 입지적 장점을 살리는 것, 상수리나무 숲에 인접한 주변의 뛰어난 자연환경에 순응하는 배치와 외관 디자인으로 건물 자체가 주변 환경과 잘 어우러지도록 계획하는 것에 초점을 맞췄다.
실내에 주로 머무르는 쇼핑몰의 필요 조건을 충족하면서 안팎이 소통하는 디자인과 배치로 방문자들이 새로운 경험과 휴식, 힐링을 체험하도록 디자인 컨셉부터 외관, 인테리어, 천창 디자인과 조명 디자인에 이르기까지 모두가 함께 고려된 통합 디자인으로 설계를 진행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