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응노미술관

Lee Ungno Museum

이응노미술관은 고암 이응노의 예술 세계를 기리기 위해 건립되었다. 프랑스 건축가 로랑 보두엥(Laurent Beaudouin)과 협력하여 이응노의 작품에 내재된 조형적 구조에서 영감을 받아 문자추상을 건축적으로 해석하고 상징화했다.

이응노미술관은 인근에 위치한 대전시립미술관과 대전예술의전당의 규모에 견주어 이에 압도되지 않는 적절한 규모로 세워졌다. 전통 건축의 공간적 요소인 담과 마당의 개념을 재해석하여 전시공간과 연계된 다양한 외부 공간을 형성했다. 외부 공간은 주변 정원을 비롯한 자연, 내부 공간은 이응노의 작품이 있는 문화로 상정하여 내외부 공간의 다양한 연계가 산책을 통해 이뤄질 수 있도록 했다. 미술관의 벽면은 대부분 유리창으로 이루어져 있어 외부의 자연환경과 연결된 듯한 인상을 준다. 미술관 지붕은 자연의 빛이 내부로 스며들게 하는 동시에 외부의 차양과 격자 형태의 내부 천장은 직사광선으로부터 전시 작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응노미술관은 자연환경을 담아내면서도 기능적인 공간과 한국적인 요소를 현대화한 설계로 건축적 미뿐 아니라 활용도 면에서도 뛰어나 대전을 대표하는 건축물로 평가된다.

기사

  • 상태

    준공

  • 수상
    • 2007 한국건축가협회상 본상
    • 2007 한국건축문화대상 우수상
  • 발주

    대전광역시

  • 용도

    문화, 공공

  • 설계연도

    2004

  • 준공연도

    2007

  • 위치

    대전광역시 서구

  • 대지면적

    648,715.60m2

  • 연면적

    1703.20m2

  • 건축면적

    1139.87m2

  • 규모

    지하 1층, 지상 2층

  • 설계

    설계1본부

  • 협력
  • 참여

    백문기, 이병호, 권현주, 김도한, 서현정, 조정연, 김승훈

이응노미술관은 고암 이응노의 예술 세계를 기리기 위해 건립되었다. 프랑스 건축가 로랑 보두엥(Laurent Beaudouin)과 협력하여 이응노의 작품에 내재된 조형적 구조에서 영감을 받아 문자추상을 건축적으로 해석하고 상징화했다.

이응노미술관은 인근에 위치한 대전시립미술관과 대전예술의전당의 규모에 견주어 이에 압도되지 않는 적절한 규모로 세워졌다. 전통 건축의 공간적 요소인 담과 마당의 개념을 재해석하여 전시공간과 연계된 다양한 외부 공간을 형성했다. 외부 공간은 주변 정원을 비롯한 자연, 내부 공간은 이응노의 작품이 있는 문화로 상정하여 내외부 공간의 다양한 연계가 산책을 통해 이뤄질 수 있도록 했다. 미술관의 벽면은 대부분 유리창으로 이루어져 있어 외부의 자연환경과 연결된 듯한 인상을 준다. 미술관 지붕은 자연의 빛이 내부로 스며들게 하는 동시에 외부의 차양과 격자 형태의 내부 천장은 직사광선으로부터 전시 작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응노미술관은 자연환경을 담아내면서도 기능적인 공간과 한국적인 요소를 현대화한 설계로 건축적 미뿐 아니라 활용도 면에서도 뛰어나 대전을 대표하는 건축물로 평가된다.

기사

필름

연관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