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정중심복합도시 국립박물관단지 마스터플랜 국제공모는 전체 단지와 박물관 시설들의 통합적 구상 및 계획을 위해 2단계 설계공모방식으로 진행되었다. 1차 공모에서는 면적 190,000㎡에 달하는 전체 사업부지 개발 계획 구상과 1단계 사업부지(약 75,000㎡)에 해당하는 마스터플랜 아이디어를, 2차 공모에서는 보다 구체화된 마스터플랜과 1단계 사업 중 1차 건립 시설인 국립어린이박물관, 통합수장고, 통합운영센터의 설계를 평가했다. 정림건축은 캐나다 기반 건축사무소 Office OU와 협업한 ‘세종 뮤지엄 가든즈(Sejong Museum Gardens)’를 출품해 공모에 최종 당선되었다. 당선작은 1차 건립 시설의 배치 및 단계적 조성 계획, 도시와 자연이 공존하는 마스터플랜으로 단지 전체 조직이 휴먼 스케일로 유지되면서 도시와 자연환경을 적극 고려한 공간의 완급 조절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세종 뮤지엄 가든즈는 한국 전통 궁궐 배치 디자인을 모티브 삼아 대지의 다양한 생태환경을 단지 안으로 받아들이도록 계획했다. 이는 독립적인 랜드마크성 시설을 계획하기보다 주변 풍경들을 보전함으로써 박물관 공간들을 상징화하는 방향성으로, 방문객들은 공간 안팎에서 일어나는 전시와 풍경을 문화적으로 발견하고 감상하며 부지 전체를 하나의 거대한 박물관처럼 경험할 것이다. 일정 높이에서 건축물을 단순한 선으로 감싸는 캐노피는 대지의 다양한 지형 속에 놓인 박물관 각 시설과 외부 공간 사이를 일정한 면으로 가로질러 교차하며 그 성격을 규정한다. 마스터플랜 제안상 아직 확정되지 않은 박물관들의 대지 및 프로그램을 고려해 추후 통합수장고에 기능적이고 효율적으로 연결할 방안을 수립했다.
기사
- [C3] 행정중심복합도시 국립박물관단지 국제공모전 당선작 (n. 389)
- [SPACE] [NEWS] 국립박물관단지 마스터플랜 최종 당선작 발표 (2017. 01.)
- [대한경제] 세종 국립박물관단지 마스터플랜 당선작 ‘세종 뮤지엄 가든즈’ 선정
- [YTN] [건축&디자인] 세종시의 명건축이 될 세종뮤지엄가든스, 자연과 문화를 잇다










-
상태
진행
-
수상
- 행정중심복합도시 국립박물관단지 마스터플랜 국제공모 최종 당선
- 2017 국토교통부장관 표창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추천)
-
발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
용도
문화, 공공
-
설계연도
2016
-
위치
세종특별자치시 중앙공원 내 문화시설 용지
-
대지면적
75,000.00m2
-
연면적
76,224.00m2
-
건축면적
27,820.00m2
-
규모
지하 2층, 지상 4층
-
설계
설계3본부, 글로벌사업본부, 복합설계본부
-
협력
-
참여
이근영, 배문기, 이호, 백승용, 류승렬, 장예리, 민들레, 최원혁, 김정환
행정중심복합도시 국립박물관단지 마스터플랜 국제공모는 전체 단지와 박물관 시설들의 통합적 구상 및 계획을 위해 2단계 설계공모방식으로 진행되었다. 1차 공모에서는 면적 190,000㎡에 달하는 전체 사업부지 개발 계획 구상과 1단계 사업부지(약 75,000㎡)에 해당하는 마스터플랜 아이디어를, 2차 공모에서는 보다 구체화된 마스터플랜과 1단계 사업 중 1차 건립 시설인 국립어린이박물관, 통합수장고, 통합운영센터의 설계를 평가했다. 정림건축은 캐나다 기반 건축사무소 Office OU와 협업한 ‘세종 뮤지엄 가든즈(Sejong Museum Gardens)’를 출품해 공모에 최종 당선되었다. 당선작은 1차 건립 시설의 배치 및 단계적 조성 계획, 도시와 자연이 공존하는 마스터플랜으로 단지 전체 조직이 휴먼 스케일로 유지되면서 도시와 자연환경을 적극 고려한 공간의 완급 조절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세종 뮤지엄 가든즈는 한국 전통 궁궐 배치 디자인을 모티브 삼아 대지의 다양한 생태환경을 단지 안으로 받아들이도록 계획했다. 이는 독립적인 랜드마크성 시설을 계획하기보다 주변 풍경들을 보전함으로써 박물관 공간들을 상징화하는 방향성으로, 방문객들은 공간 안팎에서 일어나는 전시와 풍경을 문화적으로 발견하고 감상하며 부지 전체를 하나의 거대한 박물관처럼 경험할 것이다. 일정 높이에서 건축물을 단순한 선으로 감싸는 캐노피는 대지의 다양한 지형 속에 놓인 박물관 각 시설과 외부 공간 사이를 일정한 면으로 가로질러 교차하며 그 성격을 규정한다. 마스터플랜 제안상 아직 확정되지 않은 박물관들의 대지 및 프로그램을 고려해 추후 통합수장고에 기능적이고 효율적으로 연결할 방안을 수립했다.
기사
- [C3] 행정중심복합도시 국립박물관단지 국제공모전 당선작 (n. 389)
- [SPACE] [NEWS] 국립박물관단지 마스터플랜 최종 당선작 발표 (2017. 01.)
- [대한경제] 세종 국립박물관단지 마스터플랜 당선작 ‘세종 뮤지엄 가든즈’ 선정
- [YTN] [건축&디자인] 세종시의 명건축이 될 세종뮤지엄가든스, 자연과 문화를 잇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