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항 북항 마리나는 부산항 북항 1단계 재개발사업의 일환으로 계획된 시설이다. 북항 재개발과 함께 마리나 산업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대중 편의 해양레저 체험형 마리나 항만 시설을 개발해 운영하는 데에 그 건립 목적을 두었다. 정림건축은 2018년 부산항만공사(BPA) 현상설계 공모 당선을 시작으로, 시설 성격상 이용객과 접근성이 한정된 마리나가 어떻게 공공성을 부여받을지 초점을 맞추고 설계안을 수렴해 나갔다. 프로그램 면에서도 국외 선진 마리나 사례 답사 및 분석을 통해 도시와 접점을 만드는 공공건축으로서의 마리나를 조성하고자 했다.
마리나의 외부 공간과 어우러진 테라스 형상의 매스는 자연 채광을 받아들이기 유리하며 이곳에서 해상계류시설과 해양문화지구 전체를 조망할 수 있다. 바다와 대지가 만나는 호안 공간도 가능한 한 길게 활용해 계류시설과의 연계성과 편의시설의 대면 비율을 높이며 이용객들의 접근을 원활하게 도왔다. 부산의 바다와 도시 풍광을 최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상층부에 숙박시설을 배치했고, 생활 체육 기반시설로서 어린이 생존 수영 교육장과 스킨 스쿠버 풀을 도입해 ‘부산시민 생활의 장’으로 기능할 공간을 추가로 확보했다. 부산항 국제여객터미널과 추후 건립될 부산 오페라 하우스 등 기존 건축을 존중하며, 북항이 지닌 컨텍스트를 조화롭게 받아들이는 풍경으로서 존재하며 부산의 새로운 랜드마크를 구현한다.
도서
-
상태
준공
-
수상
- 2024 부산다운건축상 대상
-
발주
부산항만공사
-
용도
공공, 교통, 복합
-
설계연도
2018
-
준공연도
2023
-
위치
부산광역시 중구
-
대지면적
26,446.27m2
-
연면적
23,676.17m2
-
건축면적
12,143.29m2
-
규모
지상 7층
-
설계
설계1그룹 / 밸류애드 BU
-
협력
아이엔지그룹건축사사무소
-
참여
천지혜, 박재완, 박영빈, 정주현, 김기룡, 오정택, 김현삼, 김재현, 구태연, 오가영, 김부빈, 전상우
-
사진
윤준환








부산항 북항 마리나는 부산항 북항 1단계 재개발사업의 일환으로 계획된 시설이다. 북항 재개발과 함께 마리나 산업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대중 편의 해양레저 체험형 마리나 항만 시설을 개발해 운영하는 데에 그 건립 목적을 두었다. 정림건축은 2018년 부산항만공사(BPA) 현상설계 공모 당선을 시작으로, 시설 성격상 이용객과 접근성이 한정된 마리나가 어떻게 공공성을 부여받을지 초점을 맞추고 설계안을 수렴해 나갔다. 프로그램 면에서도 국외 선진 마리나 사례 답사 및 분석을 통해 도시와 접점을 만드는 공공건축으로서의 마리나를 조성하고자 했다.
마리나의 외부 공간과 어우러진 테라스 형상의 매스는 자연 채광을 받아들이기 유리하며 이곳에서 해상계류시설과 해양문화지구 전체를 조망할 수 있다. 바다와 대지가 만나는 호안 공간도 가능한 한 길게 활용해 계류시설과의 연계성과 편의시설의 대면 비율을 높이며 이용객들의 접근을 원활하게 도왔다. 부산의 바다와 도시 풍광을 최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상층부에 숙박시설을 배치했고, 생활 체육 기반시설로서 어린이 생존 수영 교육장과 스킨 스쿠버 풀을 도입해 ‘부산시민 생활의 장’으로 기능할 공간을 추가로 확보했다. 부산항 국제여객터미널과 추후 건립될 부산 오페라 하우스 등 기존 건축을 존중하며, 북항이 지닌 컨텍스트를 조화롭게 받아들이는 풍경으로서 존재하며 부산의 새로운 랜드마크를 구현한다.
도서
필름
연관 정림포럼
-
공동의 아이디어를 수렴하는 방식
부산항 북항 마리나 설계팀 대담: 현상설계
-
설계안을 완성할 퍼즐을 찾아서
부산항 북항 마리나 설계팀 대담: 중간설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