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여자대학교 중앙도서관

Central Library, Ewha Womans University

정림건축은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에서 어두침침한 전깃불보다 자연 채광을, 공조기보다 자연 통풍을, 규격화보다 자연 발생적인 형태를 중시하고자 했다. 이는 그간의 대학 도서관에서 유지관리 측면이 도외시되곤 했던 경험에서 비롯했다.
대출부와 목록실을 중심으로 천창에서 내리는 광채는 도서관 내부 공간에 생기를 불러일으키며 면학 장소로서 지닌 의미를 강조한다. 전 관은 개가식으로 운영되는데, 경사지가 가진 이점을 살려 전출입구를 2층에 두고 하부에는 자유열람실을, 상부에는 통제된 개가식 열람실을 배치했다.

  • 상태

    준공

  • 수상
    • 1985 한국건축가협회상 본상
    • 1984 한국건축전 준공부문 최우수상
  • 발주

    이화여자대학교

  • 용도

    교육

  • 설계연도

    1981

  • 준공연도

    1984

  • 위치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 대지면적

    259,029.65m2

  • 연면적

    18,467.00m2

  • 건축면적

    3,994.59m2

  • 규모

    지하 2층, 지상 5층

  • 참여

    최태용, 권도웅 외

  • 사진

    모빗

정림건축은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에서 어두침침한 전깃불보다 자연 채광을, 공조기보다 자연 통풍을, 규격화보다 자연 발생적인 형태를 중시하고자 했다. 이는 그간의 대학 도서관에서 유지관리 측면이 도외시되곤 했던 경험에서 비롯했다.
대출부와 목록실을 중심으로 천창에서 내리는 광채는 도서관 내부 공간에 생기를 불러일으키며 면학 장소로서 지닌 의미를 강조한다. 전 관은 개가식으로 운영되는데, 경사지가 가진 이점을 살려 전출입구를 2층에 두고 하부에는 자유열람실을, 상부에는 통제된 개가식 열람실을 배치했다.

필름

연관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