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심 내 주거문제는 경제적 논리와 부동산 경기, 빈부격차, 교육문제 등 다양한 현상들의 집합체다. 도시 안에서 주거는 거주에 대한 기능을 담당하고 효율적 해결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다. 집이라는 기본적인 공간은 삶에 역사를 만드는 곳인데 여관의 방처럼 기능적 누울 자리를 마련하기에 현실은 급급하다.
현실로 돌아와서 우리가 꿈꾸는 도심 내에서 집은 어떤 곳일까? 사랑하는 아내와 우리 아이와 행복한 가정을 위한 공간은 무엇일까?
따뜻하고 마당에서 아이들이 놀고 전망도 좋고 다락방에서 아이와 함께 동화책도 읽어주고 지인들과 함께 저녁을 먹는 그런 집을 누구나 다 꿈꿀 것이다. 더 나아가 주차도 편하고 안전하며 편의시설도 가깝고, 좋은 이웃과 함께 즐길 수 있는 그런 주거환경이 이상적일 것이다. 주택과 아파트 공동주택의 사이에 다세대 주거은 저렴한 현실적 도피처이다. 저렴한 만큼 주거환경도 퀄리티가 높지 않다. 이곳에 주택의 장점과 아파트의 편리함을 겸비한 이상적인 주거를 만들어 본다.





-
상태
준공
-
발주
재단법인 정림건축문화재단
-
용도
주거
-
설계연도
2017
-
준공연도
2018
-
위치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
대지면적
370.00m2
-
연면적
958.25m2
-
건축면적
223.56m2
-
규모
지하 1층, 지상 5층
-
참여
김용만 노영우
도심 내 주거문제는 경제적 논리와 부동산 경기, 빈부격차, 교육문제 등 다양한 현상들의 집합체다. 도시 안에서 주거는 거주에 대한 기능을 담당하고 효율적 해결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다. 집이라는 기본적인 공간은 삶에 역사를 만드는 곳인데 여관의 방처럼 기능적 누울 자리를 마련하기에 현실은 급급하다.
현실로 돌아와서 우리가 꿈꾸는 도심 내에서 집은 어떤 곳일까? 사랑하는 아내와 우리 아이와 행복한 가정을 위한 공간은 무엇일까?
따뜻하고 마당에서 아이들이 놀고 전망도 좋고 다락방에서 아이와 함께 동화책도 읽어주고 지인들과 함께 저녁을 먹는 그런 집을 누구나 다 꿈꿀 것이다. 더 나아가 주차도 편하고 안전하며 편의시설도 가깝고, 좋은 이웃과 함께 즐길 수 있는 그런 주거환경이 이상적일 것이다. 주택과 아파트 공동주택의 사이에 다세대 주거은 저렴한 현실적 도피처이다. 저렴한 만큼 주거환경도 퀄리티가 높지 않다. 이곳에 주택의 장점과 아파트의 편리함을 겸비한 이상적인 주거를 만들어 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