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ign

다양한 프로젝트 부문에서 풍부한 경험과 노하우를 지닌 최고의 전문인력은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정림건축 경쟁력의 원천입니다.

정림건축 친환경건축 소개

환경분야의 기술적, 제도적 문제 대응

친환경건축 통합설계로 건물 이용자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 유한한 에너지와 자원의 소비 절감, 지속 가능한 지구환경의 보전에 기여합니다. 전문 인력으로 구성된 팀을 조직하여 서비스 분야별 상호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프로젝트의 기획-설계-시공-운영-폐기에 이르기까지 건물 생애주기 동안 발생하는 환경 분야의 기술적, 제도적 문제에 대응합니다.

친환경설계 7단계 소개 : 1.친환경건축의 목표 설정 -프로젝트의 구체적인 친환경 목표 설정,친환경건축물의 유형별 사례조사,전문가들과의 통합디자인 협의, 2.기본방향 설정-계획대지 내 미기후 환경 분석,친환경건축 관련 법규 검토,대중교통의 접근성 확인,대지의 주변환경, 생태적 가치 평가,건물배치 및 기초 환경성능 평가,적용 가능한 친환경건축 계획요소 정리,친환경인증의 적용사항 검토,포괄적인 친환경설계의 기본방향 설정, 3.계획요소의 분석 및 평가-Passive Design 요소 선정 및 적용방안 검토,외피의 단열성능, 창면적비 기준 설정,표면일사량, 음영비율, 자연환기 성능평가,건물 부하예측과 에너지절감 전략,친환경자재의 확보 및 적용계획,Passive Design의 상호 비교 평가,우수, 중수의 수집 및 활용 계획,고효율 기자재의 도입 방안 검토,옥외 조경 및 비오톱 조성 계획,태양광, 지열 등 신재생 에너지 설치계획,쾌적한 실내환경 계획,친환경건축물인증의 평가사항 확인,친환경계획의 Check List 작성, 4.계획의 도서 반영-통합 시뮬레이션 에너지성능 평가,최종 목표 에너지 절감량 달성 확인,자재선정 및 시공법에 대한 시방서 작성,최종 친환경계획 요소의 도서 반영 확인, 5.계획요소의 시공 확인-친환경계획에 의한 시공 반영 여부 확인,친환경 시공 공정별의 현장 기록,계획의 미반영 사항에 대한 대응, 6,7.조정 및 목표달성-입주 전 환경성능 측정 및 평가,에너지 설비시스템의 확인 및 조정,입주 후 환경성능 설문조사,목표 친환경인증의 획득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