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공장 당산

Thinking Platform Dangsan

기획단계

설계단계

  • 설계용역관리 및 성과 검토
  • 설계도서 및 품질관리
  • 설계 경제성(VE) 및 시공성 검토
  • 설계 안전성 검토
  • 환경/교통/재해영향 분석

구매·조달단계

  • 입찰 업무 지원
  • 계약 업무 지원
  • 지급 자재 조달 지원

시공단계

  • 착공 신고서 등 검토
  • 가설계획 검토 및 관리
  • 설계 변경 및 계약 관리
  • 시공 계획 및 시공 상세 검토
  • 자재 관리(선정 및 검수)
  • 품질 관리
  • 안전 관리
  • 환경 관리
  • 기술 검토 및 교육
  • 기성 검사 및 (예비)준공 검사

시공후단계

SK D&D의 오피스 브랜드 ‘생각공장’이 여는 두 번째 지식산업센터인 생각공장 당산은 서울 3대 업무지구 영등포에 건립된 초대형 업무시설이다. 공급자 중심의 기존 지식산업센터가 아닌, 실제 사용자가 중심이 되는 지식산업센터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건축적으로 구현했다.

일반적으로 지식산업센터가 효율성과 가성비를 추구한 데 비해, 생각공장 당산은 개별 입주사들에게 자긍심이 되고 오래 머물고 싶은 환경을 만들기 위해 기존 지식산업센터에서는 최소한으로만 구현했던 요소들에 품격을 부여하고, 주변 도시와 연결했다. 기존 부지는 물류창고로 사용되어 주변 도시와의 연결성이 단절된 상태였는데, 생각공장 당산은 ‘길’과 ‘광장’을 통해 열린 대지를 형성하여 주변 도시와의 연결성을 새롭게 만들어냈다. 도시에서 이어지는 길들은 생각공장 당산의 다양한 레벨을 연결하며 건물의 내부 동선으로 확장된다. 그 과정에서 열린 대지, 즉 광장과 산책로(공원)가 형성된다. 이는 저층부에서 상업 활동과 이벤트 등 생각공장 당산의 프로그램과 활동을 담아내는 기반이 되고, 다양한 관계 맺기를 유발하기도 한다. 생각공장 당산은 흐름과 소통의 공간이자, 머물고 싶은 장소로서 도시에 활력을 불어넣는 지식산업센터의 새로운 유형을 제안한다.

기사

도서

Architect & Architecture + All that CM
생각공장 당산
하늘에서 본
생각공장 당산

  • 고객

    SK D&D

  • 용도

    산업, 오피스

  • 주요시설

    윤준환

  • 위치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 준공연도

    2022

  • 설계

    설계1그룹 / 밸류애드 BU

  • 시공

    MANIFESTO

  • CM

    김동관(TL), 오성종(TL), 성명준(TL), 김현삼, 김재현, 강석규, 윤나예, 김정연

  • 감리

    2019 - 2022

  • 대지면적

    12,874.90m2

  • 건축면적

    6,810.56m2

  • 연면적

    99,988.97m2

  • 규모

    지하 4층, 지상 15층

기획단계

설계단계

  • 설계용역관리 및 성과 검토
  • 설계도서 및 품질관리
  • 설계 경제성(VE) 및 시공성 검토
  • 설계 안전성 검토
  • 환경/교통/재해영향 분석

구매·조달단계

  • 입찰 업무 지원
  • 계약 업무 지원
  • 지급 자재 조달 지원

시공단계

  • 착공 신고서 등 검토
  • 가설계획 검토 및 관리
  • 설계 변경 및 계약 관리
  • 시공 계획 및 시공 상세 검토
  • 자재 관리(선정 및 검수)
  • 품질 관리
  • 안전 관리
  • 환경 관리
  • 기술 검토 및 교육
  • 기성 검사 및 (예비)준공 검사

시공후단계

SK D&D의 오피스 브랜드 ‘생각공장’이 여는 두 번째 지식산업센터인 생각공장 당산은 서울 3대 업무지구 영등포에 건립된 초대형 업무시설이다. 공급자 중심의 기존 지식산업센터가 아닌, 실제 사용자가 중심이 되는 지식산업센터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건축적으로 구현했다.

일반적으로 지식산업센터가 효율성과 가성비를 추구한 데 비해, 생각공장 당산은 개별 입주사들에게 자긍심이 되고 오래 머물고 싶은 환경을 만들기 위해 기존 지식산업센터에서는 최소한으로만 구현했던 요소들에 품격을 부여하고, 주변 도시와 연결했다. 기존 부지는 물류창고로 사용되어 주변 도시와의 연결성이 단절된 상태였는데, 생각공장 당산은 ‘길’과 ‘광장’을 통해 열린 대지를 형성하여 주변 도시와의 연결성을 새롭게 만들어냈다. 도시에서 이어지는 길들은 생각공장 당산의 다양한 레벨을 연결하며 건물의 내부 동선으로 확장된다. 그 과정에서 열린 대지, 즉 광장과 산책로(공원)가 형성된다. 이는 저층부에서 상업 활동과 이벤트 등 생각공장 당산의 프로그램과 활동을 담아내는 기반이 되고, 다양한 관계 맺기를 유발하기도 한다. 생각공장 당산은 흐름과 소통의 공간이자, 머물고 싶은 장소로서 도시에 활력을 불어넣는 지식산업센터의 새로운 유형을 제안한다.

기사

도서

Architect & Architecture + All that CM
생각공장 당산
하늘에서 본
생각공장 당산

필름

연관 정림포럼

  • 도시 속 작은 도시를 만든 사람들

    생각공장 당산은 설계 팀원 모두가 시작부터 끝까지 온전히 같은 목표를 향해 노력할 수 있는 프로젝트로 운영되었다. 팀원 개개인은 아직 불완전한 건축가일지라도, 팀이라는 울타리 안에서 각자가 자신의 역할을 100% 이상 수행한다면 더욱 값진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정림건축이 생각하는 공공성

    중대형급 이상의 건축사무소는 자본 논리로 구축되는 사업성과, 사용자와 도시를 대하는 공공 이데올로기 사이에서 그 균형을 찾기 마련이다. 건축주의 요구를 충실히 이행하는 동시에 건물이 지닌 사회적 가치와 공공적 자산으로서의 정체성을 잃지 않으려는 노력은, 정림건축이라는 ‘집단’이 창설된 초창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오랜 기간 고민해온 지점이기도 하다.

  • 생각공장 당산 DP 김동관 님

    생각공장 당산의 DP (Design Principal)로 프로젝트를 이끈 김동관 님에게 생각공장 당산 프로젝트의 설계에 대해 묻고, 소회를 들어보았다.

  • 경계를 넘나들며 확장하는 건축, 김동관 님

    첨단설계부문에는 설계 현업에서 BU를 다방면에서 전략적으로 지원하는 전략 유닛(SU, Strategy Unit)이 조직되어 있다. 그중 디자인 SU는 전사 대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한편, BU에서 진행하는 프로젝트의 디자인 방향성을 수립하기 위해 현업 단계에서 전략적으로 지원하는 유닛이다. 김동관 디자인 SU 리더는 그간의 설계 경력을 토대로 정림건축만의 디자인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한다.

연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