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림포럼
-
설계안을 완성할 퍼즐을 찾아서
부산항 북항 마리나 설계팀 대담: 중간설계
-
생각공장 당산 DP 김동관 님 인터뷰
생각공장 당산의 DP(Design Principal)로서 프로젝트를 이끈 김동관 님에게 생각공장 당산 프로젝트의 설계에 대해 묻고, 소회를 들어보았다.
-
변화에 대응하며 시대를 선도하다, 이명진 님
2024년 출범한 첨단설계부문은 급변하는 시장 상황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응하겠다는 정림건축의 의지이자 혁신의 단면이다. 지속 가능한 건축이라는 현대사회의 요구 앞에서 이명진 대표는 정림건축의 레거시 ‘조직 설계’의 가능성을 본다. 전문성과 자생력을 갖추고 자발적 연대를 이루는 미래를.
-
한 단계 더 나아가 미래를 바라보는 병원 설계
병원 시설은 고정되어 있지 않다. 계속 사용하면서 조정과 변경을 거듭해야만 한다. 당장의 문제를 해결하기보다 조금 더 미래에 대응할 수 있는 제안이 필요하다.
-
정림건축이 생각하는 공공성
중대형급 이상의 건축사무소는 자본 논리로 구축되는 사업성과, 사용자와 도시를 대하는 공공 이데올로기 사이에서 그 균형을 찾기 마련이다. 건축주의 요구를 충실히 이행하는 동시에 건물이 지닌 사회적 가치와 공공적 자산으로서의 정체성을 잃지 않으려는 노력은, 정림건축이라는 ‘집단’이 창설된 초창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오랜 기간 고민해온 지점이기도 하다.
-
공동의 아이디어를 수렴하는 방식
부산항 북항 마리나 설계팀 대담: 현상설계
-
도시 속 작은 도시를 만든 사람들: 생각공장 당산
생각공장 당산은 설계 팀원 모두가 시작부터 끝까지 온전히 같은 목표를 향해 노력할 수 있는 프로젝트로 운영되었다. 팀원 개개인은 아직 불완전한 건축가일지라도, 팀이라는 울타리 안에서 각자가 자신의 역할을 100% 이상 수행한다면 더욱 값진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정림건축 디자인 정체성을 고민하는, 기현철 님
디자인 기술 통합지원센터 SU 디자인파트 파트장 기현철 님과의 인터뷰를 통해 정림의 디자인 정체성 만들기 및 조직설계 방법론의 과거와 현재를 짚어본다.